“1.8kg 무가 가장 맛있어”
영암 무밭, 수익 이유로 대부분 고구마밭으로 바뀌기도

김영삼씨(왼)와 조광호씨가 무밭에서 웃고 있다.
김영삼씨(왼)와 조광호씨가 무밭에서 웃고 있다.

“아삭아삭. 옆에서 가을 무를 씹는 소리만 들어도 기분이 좋다.”

15년간 무 농사를 지어온 조광호(50)씨와 무 판매를 돕는 나눔영농조합의 김영삼(58)씨는 “가을 무는 소화에 탁월해 산삼보다 좋다”고 영암 가을 무가 몸에 좋은 이유를 말했다. 

김씨는 “가끔 무를 과일처럼 깎아서 먹는다”며 “초록빛 나는 부분이 그냥 깎아 먹어도 뿌리보다 더 맛있다”고 말했다. 무는 땅에 묻힌 흰 뿌리 부분과 비바람을 이기며 자란 초록빛이 나는 부분, 무 청으로 나뉜다. 김씨는 “너무 큰 무보다 1.8kg 정도의 무가 맛있다”며 “흰 부분과 초록빛 나는 부분의 비율이 비슷한 무를 고르는 게 좋다”고 맛있는 무 고르는 비법을 말했다. 이어 “월출산의 기운을 받아 영암 땅이 좋다”며 “영암에서 무나 고구마같이, 땅에서 자라는 작물이 유명한 이유가 있다”고 설명했다.

영암에서 무 파종은 8월 말부터 9월 초 사이에 한다. 파종 후 90일이 지난 시기가 무를 수확할 적기다. 10월과 11월 시장에서는 11월에 수확하는 영암 가을 무와 10월에 수확하는 강원도 고랭지 무, 12월 초에 수확하는 제주도 월동 무의 무 삼파전이 벌어진다. 김씨는 “비바람이 거세 더 단단한 다른 지역 무들에 밀려 영암 무의 경쟁력이 높지 않은 상황이다”고 말했다. 영암 무는 서울 가락시장을 비롯해 광주와 수도권의 도매시장으로 출하된다.

 

영암 무는 다 옛말

진도 대파, 해남 배추, 영암 무. 익숙한 옛말을 따라 신선한 영암의 가을 무를 독자에게 소개한다는 포부를 가지고 영암을 찾았지만, 무 농사짓는 농부를 찾기란 쉬운 일이 아니었다. 무가 특산물이라는 영암 신북면 동네 사람들에게 물어물어 무를 기르는 농가를 찾던 중 알게 된 사실은 영암에서 무를 기르는 농가들이 사라지기 시작한 지 어언 10여년이라는 것이었다. 

300군데가 넘어갔던 신북면의 무 농가 수도 20여군데로 줄었다. 김씨는 고구마밭을 가리키며 “저곳들이 전부 무밭이었는데 고구마밭으로 바뀌었다”고 말했다. 고구마가 무보다 생산비도 덜 들어가고 소비가 많아 소득이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김씨는 “과거 주로 작은 농가들이 무를 많이 키웠다”며 “농사도 기업화가 되면서 작은 농가들이 버티기 어려워졌고 무 농가들이 사라졌다”고 말했다.

힘들게 찾은 3만5천평의 땅에서 무 농사를 짓는 조씨지만, 그도 “내년에 무 농사를 지을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조씨는 “정성들여서 내 자식처럼 키워도 돈이 안 된다”며 “뭇값이 안정적이지 않아 투자금도 못 찾는 실정이다”고 말했다. 

힘든 상황에서도 무를 키우는 건 쑥쑥 자라나는 무를 보며 느끼는 뿌듯함 때문이다. 조씨는 학생들에게 “쌀밥과 채소를 많이 먹어야 금방 힘이 난다”며 “밥을 먹어야 깍두기랑 김치를 먹어서 무가 많이 소비된다”고 웃었다.

저작권자 © 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