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6일 총학생회(총학)는 ‘학점 비율 조정 관련 정책공청회(공청회)’라는 이름의 자리를 마련했다. 지난달 31일 개정된 성적 평가 방법 개선안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에 따른 것이다.

자리에 참석한 학생들은 정책 변경에 있어 학생 의견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고, 그 절차에 대한 홍보가 부족했다고 토로했다.

본부는 “노력했다”며 “개정된 정책을 바꿀 계획은 없다”고 답했다. 그러나 실제로 정책의 영향을 받는 것은 학생들이다. 본부는 당사자인 학생 의견을 먼저 고려했어야 했다. 공청회가 진행되는 동안 “그만했으면 좋겠다”고 속삭이거나 “이 자리가 힘든 것은 사람이라 어쩔 수 없다”는 본부의 태도는 더 말할 것도 없다.

그렇다면 총학은 어땠는가? “정책에 대한 모든 내용은 본부가 정했다.” “인수인계 과정이 오래 걸려 빠르게 대응하지 못했다.” 책임감이라고는 찾아볼 수 없는 핑곗거리들이다. 총학은 공약을 수립할 때부터 정책이 어떤 과정에 있는지 면밀히 파악하고, 학생과 소통했어야 했다.

본부의 눈치를 보며 학생들의 뜻을 제대로 전하지 못하는 총학은 학생 대표라고 할 수 없다. 학생회는 학생들이 원하는 바를 정확하게 알고, 확실하게 요구해야 한다.

대학은 왜 존재하는가? 학생 대표는 왜 존재하는가? 원초적인 질문을 던지게 하는 본부와 총학은 이미 신뢰를 잃었다. 이는 단순히 ‘학점 비율 조정’에만 그치는 문제가 아니다. 학생 의견을 묵살하는 대학, 제대로 대변하지 못하는 학생 대표는 없느니만 못하다.

책 <더 저널리스트: 조지 오웰> 속 ‘정책 홍보의 필요성’의 일부를 적으며 무적을 마친다.

“정부가 겪는 문제의 대부분은 자신의 정책을 제대로 대중에게 알리지 못하는 데서 비롯한다는 사실이다. 사람들은 지금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왜 그런지, 그리고 가까운 미래에 어떤 변화가 생길지에 대해 제대로 된 설명을 듣지 못한다. 그래서 대중은 크든 작든 어떤 일이 생길 때마다 매번 깜짝 놀라게 된다. 결과적으로 정부는 어떤 노선과 상관없이 마땅히 해야 할 일을 하고도 대중으로부터 신뢰를 잃고 만다.”

저작권자 © 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