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상 점차 약화...지속적인 투표율 감소
입후보자 없어 번번이 부재
"침체된 학생 자치 되살리기 위한 노력 필요한 때"

1952년 총학생회가 최초 등장한 이래, 학생운동의 토대가 마련된 1960년대, 1970년 유신 반대, 5월 운동 1980년대, 저조한 관심으로 학생 자치의 위기를 겪고 있는 2000년대에 이르기까지, 70년간의 총학생회의 모습은 시대에 맞춰 변해왔다. <전대신문>은 기획을 통해 우리 대학 총학생회의 역사를 돌아보고자 한다. /엮은이

2000년, 신자유주의로 학생 공동체 점차 해체

2003년 4월 2일 학생총회
2003년 4월 2일 학생총회
등록금 부당 인상 철회를 요구하는 총학생회 기자회견(2002)
등록금 부당 인상 철회를 요구하는 총학생회 기자회견(2002)

2000년이 되자 신자유주의와 개인주의가 만연하면서 학생자치기구로서의 총학생회의 위상은 점차 약화됐다. 경험을 쌓아 취업에 성공하는 것이 대학생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문제가 되면서 학생 사회와 공동체는 점차 해체되고, 사회 문제에 대한 관심과 집단적으로 해결하려는 노력 또한 사라져갔다. 학생들은 총학생회가 자신의 개인적인 삶에 개입하지 않고 복지만을 제공하는 기구로 변하길 바랐고, 이에 따라 학내에서는 ‘복지’를 내세우며 출마한 학생회가 등장했다.

먼저 2000년의 총학생회는 ‘등록금 인상 반대 투쟁’으로 활동을 시작했다. 사립 대학을 중심으로 촉발된 등록금 인상 움직임은 국립대학에도 번졌고, 우리 대학에서는 그해 12월 18일 등록금 인상안이 결정됐다. 일방적인 등록금 인상에 반발한 학생들과 총학생회는 반대 투쟁을 시작했고 1년 후인 2001년 3월 30일, 개교 이래 첫 학생총회를 개최해 대학 당국에 문제를 제기하며 목소리를 냈다. 이때부터 시작된 등록금 인상 반대 투쟁은 2009년 등록금 동결 전까지, 해마다 이어진 등록금 인상 움직임과 맞물려 지속됐다.

취업 등 현실적인 문제에 학생 자치 활동은 뒷전으로

2003년 11월 실시된 제36대 총학생회 선거는 개교 이래 처음으로 후보자 중 과반수 득표자가 없어 결선투표를 두 차례 진행했다. 하지만 끝내 당선자를 내지 못한 채 다음 해로 연기됐다. 당시 후보자였던 문용득, 정대환은 이미 1차 결선투표에서 자신들이 당선되었기 때문에 2차 결선투표는 부당하다고 주장했다. 이는 선거 시행 세칙을 해석하고 적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였다. 후보들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갈등을 빚었고, 법정 소송 끝에 최종 당선을 확정 지었다.

이후 2008년 5월, 미국에서 수입한 쇠고기의 광우병 논란이 일자 우리 대학 총학생회는 정부를 대상으로 촛불집회와 단식 투쟁을 이어갔다. 이는 그동안 주로 학내 문제와 학생 복지에 초점을 맞춘 총학생회의 활동이 다시 사회 문제로 방향을 전환하고, 총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관심도가 증가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총학의 활동과 학생들의 관심은 당시에만 국한된 것으로, 취업난과 경제난으로 인해 학생들의 관심과 참여는 다시 멀어졌다.

지속적인 무관심과 총학생회 부재 이어져

학생들의 무관심 속 투표율은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였다. 결국 2017년도 총학생회 선거는 3일간의 연장 투표에도 불구하고 투표율 50%를 넘지 못해 무산됐고, 이후 열린 재선거에서도 투표율이 과반수를 넘지 못했다. 이는 우리 대학 총학생회 역사상 처음으로 총학생회장직이 공석으로 남은 이례적인 사건이었으며 총학생회장 업무는 비상대책위원장(비대위원장)이 대행했다. 이듬해 2018년 제49대 총학생회가 출범해 학생 사회를 이끌었지만, 2019년 역대 최저 투표율을 기록하며 선거가 무산되고, 재선거마저 진행되지 않아 총학생회는 또다시 공석이 됐다. 2020년에는 입후보자 부재로 공식적인 선거의 시작조차 하지 못했다.

2021년 12월 2일 진행된 2021년 총학생회 선거에서 2년 만에 제50대 총학생회가 구성됐지만, 당선 3개월 만의 부총학생회장 사퇴와 총학생회장 탄핵안으로 학생자치기구의 부활은 좌절됐다. 경품 추첨 조작 논란과 부총학생회장의 신천지 의혹 등이 그 이유였다. 지도부 사퇴 후 그해 4월 열린 보궐선거에서 제51대 ‘내일’ 총학생회가 선출돼 8개월의 임기를 지냈다. 현재 ‘거점국립대학교총장협의회’에 가입된 전국 10개의 국립대학 중 우리 대학을 포함한 부산대와 경북대의 총학생회가 부재한 상황이며 모두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가 총학생회의 업무를 대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예원 씨(영어영문·22)는 “총학생회 활동이 많은 학생의 관심사인 취업과 스펙 쌓기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느끼기 때문에 자치 활동에 대한 관심이 줄어드는 것 같다”며 “침체된 학생 자치를 되살리기 위해 여러 사람의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전했다.

사진 <전대신문> 자료사진

저작권자 © 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