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2년 총학생회가 최초 등장한 이래, 학생운동의 토대를 마련된 1960년대, 1970년 유신 반대, 5월 운동 1980년대, 저조한 관심으로 학생 자치의 위기를 겪고 있는 2000년대에 이르기까지, 70년 간의 총학생회의 모습은 시대에 맞춰 변해왔다. <전대신문>은 이 기획을 통해 우리 대학 총학생회의 역사를 돌아보고 학생 자치 기구가 나아갈 미래를 그리고자 한다. 총학생회 역사는 본지 축쇄판을 통해 조사했다.

1952년 학도호국단으로 학생 기구 등장

▲ 1952년 11월 15일 최상채 초대 총장 취임식 날 도열중인 학도호국단

1952년 학도호국단의 발족으로 우리 대학의 첫 총학생회가 시작됐다. 학도호국단은 국가 발전을 위한 정신과 실력을 기르고자 조직된 학생대표기구였다. 개교 이래 처음 만들어진 자치 기구로 학생들이 단과대학 운영위원을 자율적으로 선출하는 등 학생 자치 기관의 모습을 갖추고 있었다. 그러나 대의기구로서의 역할은 미미했다. 공식적인 학생 기구였지만, 운영 방식에서 학생들의 의견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했기 때문에 진정한 학생 대표 기구로는 인정받지 못했다. 또한 각 학과에는 학년별로 대의원을 선출해 조직한 대의원회가 별도로 존재했다. 학생과 관련된 주요 문제를 논의한다는 점에서 그 역할이 비슷했기 때문에 학도호국단의 상징성과 대표성은 줄어들었다. 이렇게 1950년대의 학생 조직은 학도호국단과 대의원회의로 이원화됐다.

박정희 정권, ‘재건 학생회’ 개편 후 운영 통제

▲ 1969년 6월 단과대학생 회장선거 투표

이후의 학생 자치는 1960년 4월에 일어난 4·19혁명을 기점으로 변화의 국면을 맞이했다. 4·19혁명은 이후 전개될 민주화 운동의 기폭제로 작용했는데, 특히 우리 대학에서는 학원 민주화 운동이 활발하게 진행됐다. 이에 따라 정부는 전국 학도호국단을 해체하고 대학별로 학생 자치 위원회를 조직하도록 결정했다. 학생호국단이 해체된 이후 우리 대학에서는 단과대별 학생회가 결성됐는데, 이 중 법과대학(법과대)이 1960년에 가장 먼저 자치회를 구성했다. 법과대는 자치회에 집행부와 자치 의회를 두어 상호 견제를 통한 운영에도 힘썼다. 이어 다른 단과대학에도 차례대로 자치 위원회가 만들어졌다.

이로부터 1년 뒤인 1961년 5월 16일, 5·16 군사정변이 일어났다. 박정희 등 군부세력은 정권을 장악하고, 그들의 쿠데타를 미화하기 위해 새마을 운동으로 대표되는 ‘재건 국민운동’을 전개했다. 군사정권은 재건 국민운동의 일환으로 학생 자치회를 ‘재건 학생회’로 전면 개편했다. 이때 발족된 재건 학생회가 사실상 우리 대학의 제1대 총학생회로 일컬어진다. 재건 학생회는 재건 국민운동 본부의 감독을 받았다. 재건 국민운동 본부는 재건 학생회의 운영 규칙을 임의로 지정·통보하는 등 사실상 학생회 운영 전반을 통제했다. 1964년 8월 재건 국민운동 본부가 해체된 후 재건 학생회는 문교부(현 교육부)의 감독 아래 ‘학생회’로 개칭해 활동했다. 이후 학생회는 △한일협정 무효 △1967년 6·8부정선거 규탄 △1969년 3선 개헌 반대 등을 외치며 독재세력에 저항했다.

1975년 학도호국단 부활로 학생회 해체

▲ 1975년 6월 25일 재창설된 학도호국단 발단식 및 6·25멸공 궐기대회

하지만 1975년 제14대 총학생회를 마지막으로 학생회는 해체된다. 1975년 6월 7일 공포된 학도호국단 설치령에 따라 1960년에 해체됐던 학도호국단이 부활했기 때문이다. 박정희 사망 이후 유신체제가 붕괴되며 민주화에 대한 기대로 가득했지만 1979년 12월 12일 전두환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 세력이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주도권을 잡았다. 김대중·김영삼 등의 정치지도자들이 대통령 출마를 위한 정치적 포석을 하는 등 국내 정세가 요동치는 가운데 1980년 3월, 새 학기를 맞이했다.

<다음호에 계속>

사진 <전대신문> 자료사진

저작권자 © 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