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혁 열사(의예·84)는 입학 후 이념써클 ‘탈’에 가입하여 반독재 민주화 운동에 참여했다. 85년 비교육적 유급제 반대투쟁 중 행방불명 됐고 열흘 뒤 무등산에서 동사체로 발견됐다.

 

▲ 김광석 열사(당시 행정학과 3학년)는 5·18민중항쟁에 참여하다 계엄군의 총에 맞아 순직했다.

 

▲ 김남주 열사(영문학·68)는 3선개헌 반대, 교련반대, 반유신투쟁 등을 전개하다 투옥, 제적 당했다. 옥중 <진혼가>와 <잿더미> 등의 반유신투쟁에 대한 저항시를 발표했다. 이후 인혁당 사건, 남민당 사건에 연루되어 재수감되었으나 문민정부 출범 후 가석방 됐다. 94년 췌장암으로 운명했고 장례식은 민주사회장으로 치러졌다.

 

▲ 문승필 열사(화학공학·90)는 동아리 YMCA 회장으로 활동을 하면 학생운동을 주도했다. 학생운동을 하던 중 실종되었고 실종 한달만에 철로에서 변사체로 발견됐다.

 

▲ 박관현 열사(행정학·78)는 80년 총학생회장을 지내며 시민들과 학생들의 주도해 반독재투쟁을 벌이다 체포됐다. 82년 10월, 옥중 단식투쟁 끝에 세상을 떠났다.

 

▲ 박승희 열사(식품영양학·90)는 용봉 교지 편집위원회로 활동을 하며 사회문제에 관심을 가져왔다. 강경대 사건 규탄집회 중 “2만학우 단결투쟁! 미국반대! 노태우 정권 타도!”를 외치며 분신하였고 21일간 병상투쟁 하다 세상을 떠났다.

 

▲ 박인순 열사는 재학시 계림교회 대학부회장으로서 민중가요집 <메아리1집>을 발행했다. ‘계명인의 밤’에서 정권비판 풍자극을 하며 ‘반외세 반독재 투쟁을 통하여 민중해방과 통일에 이바지하는 것이 기독교인의 사명이다’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88년 한신대 신학대학원 재학 중 의문의 죽음을 당했다.

 

▲ 서호빈 열사는 5·18민중항쟁에 참여해 5월 27일 도청에서 최후까지 항쟁하다 계엄군에 총을 맞고 목숨을 잃었다.

 

▲ 신영일 열사(국사교육·77)는 들불야학을 창설하고 노동운동, 학생운동 등을 전개 했다. 광주 교도소 수감 중 40일간 단식투쟁을 하다 의식불명의 상태가 되기도 했지만 기적적으로 소생했다. 이후 전남지역의 민주화운동의 구심체로써 활동하다가 86년 5월 작고했다.

 

▲ 유영선 열사는 5·18민중항쟁에 참여해 5월 27일 도청에서 최후까지 항쟁하다 계엄군에 총을 맞고 목숨을 잃었다.

 

▲ 윤상원(본명 윤개원) 열사(정치외교학·71)는 들불야학에 참여, 전국민주노동자 연맹을 창설하는 등의 민주화 운동을 전개했다. 80년 5월 항쟁 당시 시민군의 대변인으로 활동하다 같은 달 27일 도청에서 “오늘 우리는 패배할 것이다. 그러나 역사는 우리를 승리자로 말할 것이다.”라는 말을 남기고 운명했다.

 

▲ 이용석 열사(금속학·91)는 2002년 근로복지공단 계약직 직원으로 채용되어 노조결성, 근로복지공단 비정규직노조 광주본부장으로 활동했다. 2003년 전국비정규노동장대회에서 “비정규직 철폐”를 외치며 분신했다.

  이외에도 우리 대학에는 민주화를 위해 목숨을 던졌던 박기순, 장경희 열사들이 있다.

저작권자 © 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