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학기 마다 수강신청 불편을 호소하는 학생들의 지적이 거세다(전대신문 3월 5일자). 학생들은 원하는 과목 수강을 위해 자기 나름의 비법을 모두 동원하지만 과정은 여전히 불편하고, 결과는 만족스럽지 않다. 담당부서는 되풀이 되는 과정상의 불편 해소를 위해 여러 해법을 동원해봤지만 신통치 않다. 왜 그럴까? 문제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 탓이다. 수강신청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편과 불만의 근원은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이 체계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문제의 근원은 ‘일반선택교과’이다.

학칙은 대학이 설정한 교육목표 구현을 위한 교육과정을 구성하면서 교과를 교양과목, 전공과목, 일반선택과목으로 분류하고 있다(제48조). 교과과정 편성 및 운영지침에서는 학생이 타학부(과) 전공과목 중에서 ‘임의’로 선택한 학점을 일반선택으로 인정한다고 규정하고 있다(제4장 1조). 그런데 학칙과 관련 규정·지침 어디에서도 일반선택교과 운영의 목적, 구성, 운영 방법을 명시하지 않고 있다. 교양 및 전공교과 운영에서는 각각 고유한 목적을 설정하고, 운영에 책임을 지는 담당부서와 학부(과)가 존재한다는 것을 고려할 때, 일반선택교과는 ‘사각지대’에 위치하고 있다.

이제는 문제의 근원에 대한 좀 더 체계적인 인식과 해법 마련이 필요한 때이다. 왜냐하면, 졸업학점 이수에 필요한 개별 학생의 ‘일반선택교과’ 비율은 부(복수)전공을 하지 않은 학생의 경우 교양 및 전공보다 더 높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특수 전문직업 관련 학과를 제외한 대부분 학과의 졸업소요학점은 130학점-140점으로 정해져 있는데, 그 구성을 보면 교양은 최소 27학점-45학점, 전공은 최소전공학점 33학점, 일반선택은 최소 12학점에서 최대 61학점까지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다. 현실적으로 일반선택교과에 대한 많은 수요가 존재하는데, 운영 주체인 학부(과)에게 일반선택교과는 우선순위가 아니기 때문에 수요에 적극 대응하지 않아 문제가 반복되고 있는 것이다. 해법 마련에 대한 적극적 노력이 필요하다. 일반선택교과 운영 목적을 더 정교하게 다듬고 학부(과)가 책임을 질 수 있는 세부 운영지침이 필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매학기 되풀이 되는 수강신청의 불편과 불만은 계속될 것 같다. 

저작권자 © 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