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교육, 의료, 언론, 금융, 먹거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공공성’에 관련한 논의가 뜨겁다. 특히 현 정부 출범이후 YTN 사장의 낙하산 논란과 KBS 사장 해임 및 새 사장 임명 그리고 신문·방송 겸영 허용과 신문법 개정 등 언론제도 전반에 관한 개편 움직임 등으로 ‘미디어 공공성‘이 화두로 부각되고 있다.
  미디어 공공성을 둘러싼 움직임은 정계, 언론계, 학계, 시민단체에 이르기까지 활발하다. 언론계는 노조를 중심으로 ‘언론의 공공성 위기’를 주제로 한 세미나 및 토론회 개최를 잇달아 열고 있으며 지역에서는 ‘미디어 공공성 위기는 지역성의 위기’라는 인식아래 언론계와 시민단체, 학계 등이 참여해 언론공공성 수호를 내세운 단체들을 속속 결성하고 있다. 학계에서도 지난 5일 진보와 보수를 아우르는 언론학자 2백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미디어 공공성 포럼(준비위원장 강상현)’ 이 출범을 선언했다.
  동시에 ‘언론의 공공성이 위협당하고 있다’, ‘미디어 공공성의 붕괴는 민주주의 위기이다’, ‘다매체 환경에서 공공성 확보의 방법도 달라져야 한다’는 등 미디어 공공성에 관한 여러 목소리도 나오고 있지만 정작 공공성과 미디어의 연관성에 대한 이론과 개념, 철학에 대해 기본적 합의나 공유된 가치는 찾아보기 어렵다. 대체적으로 미디어 공공성이란 ‘정치와 상업적 논리로부터 자유를 의미 한다’고 정의하지만 암묵적 동의에 불과하며 상황, 관점에 따라 카멜레온처럼 다른 옷으로 갈아입는다.
  이는 ‘공공성’이란 개념 자체가 절대적, 보편적 진리가 아니라 다양한 맥락과 의미를 지니기 때문에 불가피할 수도 있다. 미디어 공공성 역시 역사적 산물로 시대, 사회에 따라 원칙, 개념이 새롭게 구성되어 왔다. 뉴스보도의 공정성, 객관성은 19세기 중엽 서구에서 상업적 신문의 성장과 함께 발전한 하나의 뉴스형식이며 방송의 공공성이란 초창기 전파의 희소성 때문에 최대 다수에게 최대의 방송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공공재의 개념에서 출발했다.
  하지만 한국 언론에서 ‘공공성’에 관한 인식 및 철학의 부재는 정치권력의 비호아래 서구의 공공성 개념을 형식적인 보도관행으로 받아들이는데 급급했던 역사적 사실과 맥을 같이한다. 신문, 방송 모두 공공성의 우산아래 이념과 정파적 편향성을 드러냈고 한국적 상황에 맞는 원칙, 개념을 정립하려는 주체적 노력이 부족했기 때문에 미디어 공공성에 대한 합의를 도출할 수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불붙기 시작한 미디어 공공성 논의에 있어서 중요한 전제는 누구를 위한 미디어 공공성인가? 이며 또한 미디어 공공성이 민주주의 유지 및 발전에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에 대한 진지한 고민 및 성찰이 필요하다. 방송뿐만 아니라 신문, 통신과 인터넷 등 미디어라 불리 우는 모든 영역에 있어 공공성에 대한 논의가 공론화되어야 할 것이다.
  ‘현실을 인식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보다 사실에 입각한 객관적 시각을 갖추는 것’이라고 말한 전직 언론인이자 소설가인 김 훈 씨의 말처럼 현실 구성체인 미디어가 사실을 정확하게 그리고 종합적으로 표상하여 그 사실에 최대한 근접하려고 노력할 때 공공성을 담지 할 수 있을 것이다. 좋은 언론은 독자, 시청자, 이용자가 함께 만들어 간다는 점에서 미디어 공공성에 대한 우리 모두의 관심과 참여가 요청된다.

저작권자 © 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