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주변 고시원 소방상태 긴급 점검
  지난 7월 25일에 용인에서 고시원 화재 사건이 발생해 사회적인 이슈가 되면서 대학가 고시원 화재 위험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우리 대학 주변 고시원 소방 상태를 긴급 점검해 보았다. /엮은이

▲ 우리 대학주변에는 크고 작은 고시원들이 즐비하게 늘어서 있다. 상당수 고시원들은 소방 상태에 크게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일부 원룸 등은 화재에 취약한 상태를 드러내기도 했다. <사진은 기사의 특정 사실과 관계없음.>


▲겉과 속 다른 고시원
  기자는 고시원 소방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9개의 고시원을 직접 찾아가 봤다. 결과는 생각보다 나쁘지 않았으나 고시원 각 실에 소화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복도에 있는 소화기는 눈에 띄지 않는 곳에 먼지가 수북이 쌓인 상태로 놓여 있었다. 또 비상조명등이 있어도 배터리가 나가 있는 등 소방 시 필요한 물품들이 제 구실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소방 관련법 시행규칙상 지하층, 무창층, 4층 이상 건물의 바닥면적 1천㎡ 이상 되는 건물에 한해 스프링클러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지만 이 기준에 맞는 고시원을 둘러보니 그렇지 않는 곳이 많았다. 또 비상구에는 쓸 데 없는 잡동사니들이 놓여 있고 대피 유도등도 꺼져 있었다.
  한편 고시원 주인은 학생들에게 화재 대비 안전수칙을 자세히 알려줘야 하고, 그렇지 않더라도 학생들은 소화기가 어디에 놓여있는지 비상구나 완강기는 갖추어져 있는지 알고 있어야 하는데 관심조차 없었다.

▲1년에 한두 번 소방점검, 일부는 점검도 안 해
  소방서에서는 11월에서 2월 사이 겨울철 화재관리를 염두에 두어 4개월 동안 한 번 고시원 소방점검을 하거나 주위에 특별한 화재사건이 발생하여 사회적 이슈화가 되면 그때나 소방점검을 실시한다고 한다. 이처럼 1년에 두 번이 채 안 되는 소방점검인데다 각 고시원 중 정식으로 신고등록을 거치지 않은 고시원은 아예 소방점검을 하지 않는다고 한다. 이렇다보니 정식으로 신고등록하지 않은 고시원은 계속 관리가 되지 않은 채로 화재위험에 그대로 노출돼 있는 것이다.
  한편 2명 이상의 학생들이 함께 거주키 위해 이용하는 원룸은 소방서의 관리대상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 소방점검을 할 수 없다고 밝혀져 원룸에 사는 사람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 될 것으로 보인다. 실제 기자가 둘러본 2개의 원룸이 소방 상태가 가장 불량한 것으로 드러났다.

▲화재 예방 위해서는?
  소방서에서 소방점검 시 최우선으로 보는 것은 비상구가 있는지의 여부라고 한다. 비상구의 중요성으로 인해 기자가 직접 7층 건물 고시원에 찾아가 화재 시 7층에서 1층까지 비상구로 내려오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해보니 약 10여 초, 엘리베이터로 내려오는 데 걸리는 시간은 약 20여 초가 걸렸다. 이처럼 화재 시 엘리베이터보다 비상구 계단이 훨씬 더 대피에 용이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실제 화재 발생 시 많은 사람들이 한꺼번에 몰려나와 대피하기에는 복도가 너무 비좁고 어두웠다.
  한편 최근에는 소방서에서 소방점검을 실시한 뒤 건축된 건물들이 많아 소방상태가 양호한 곳이 많아졌다고 한다. 신축 고시원 주인은 “최신식 고시원은 소방 점검 상태가 양호하고 대부분 벽돌로 돼 있어서 탈 만할 것들이 없다”며 “요즘은 기술이 발달해 1천만 원 가량의 기계를 도입해 중앙에서 모두 다 통제를 하고 있으니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 “만일 이러한 시설이 갖추어져 있지 않고 구비되어 있지 않으면 소방서에서도 허가가 나오지 않아 고시원 운영을 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것을 제도적인 문제로만 꼬집는 것은 화재사고예방에 대한 최선의 방책이 아니라는 얘기도 있다. 서정민 군(조경·3)은 “너무 법적이나 제도적인 문제를 들먹이기보다는 평소에 스스로가 화재에 대한 예방정신을 함양해야 한다”며 “외출 시 자기 방을 한 번 더 돌아보고 화재 위험성이 있는 물건을 들여오지 않는다면 얼마든지 사전에 미리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