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31일 ’화술의 이론’ 수업시간은 ’수강신청 취소제’에 대한 토론으로 인해 후끈 달아올랐다. 서른 명 남짓 되는 학생들 앞에 선 오늘의 토론자 7명의 표정에는 제법 긴장감이 감돈다.
"이 제도가 시행된 지 1년이 지났고 대학 3주체 모두가 문제의식을 느끼고 있는 이 시점에서 이 제도의 존·폐론에 대해 논해보고자 합니다"라고 입을 여는 사회자 김진태 군(건축·3)의 말에 토론이 시작됐다.
수강신청 취소제도를 찬성하는 입장의 첫 번째 주자 원태은 양(동자·1)은 "자신이 원하는 과목을 들을 수 있다는 점에서 학습자의 자율권을 보장하며 학습 의욕이 없는 학생들이 수강신청 취소를 함으로써 수업 분위기가 좋아진다"며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이에 대해 반대측의 김정모 군(동자·1)은 "학습자의 자율권을 보장하기 위해서 이미 ’수강신청 정정기간’이 있으며 조별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강의에서는 학생들이 수강신청을 취소할 경우 조를 재편성하는 문제로 혼란이 야기될 것"이라며 원양에게 이의를 제기했다.
정은진 양(동자·1)은 "’수강신청 정정기간’에 대부분 수업이 진도를 나가지 않을 뿐더러 출석을 부르는 경우도 드물다"며 상대방을 반박했다. 정 양은 "이 제도를 시행함으로써 교수는 수강 신청을 취소한 학생을 통해 자기성찰을 하게 되므로 수업의 질이 높아질 것이고 취업이 어려운 요즘 이 제도로 재수강의 부담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고 덧붙였다. 반면 김서영 양(인문·1)은 "대학은 취업율을 높이기 위한 취업 양성소가 아니라 학문을 연구하는 곳이므로 본질을 퇴색시켜서는 안된다"며 "수강 신청을 취소하는 학생들을 보며 ’자아성찰’을 하기보다는 ’교권침해’라고 생각하는 교수들이 대다수"라고 주장했다. 또 "이 제도의 가장 큰 문제점은 남은 학생들이 상대평가시 학점상의 피해를 입게 되는 것"이라고 지적해 토론은 더욱 뜨겁게 달아올랐다.
이 토론을 경청하던 박주현 군(전기공학·2)은 "개인적으로 이 제도에 대해서 찬성하지만 제도의 오용을 막기 위해 취소한 학생의 학적부에 기록을 남겨, 취업할 때 취소하지 않은 학생보다 불리하게 하는 것도 한가지 대안"이라며 "이번 토론은 결론이 나지 않았지만 ’수강신청 취소제’을 일반 학생들의 입장에서 솔직히 토론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고 평했다.

/나현정 기자 dkdlel83@hanmail.net
저작권자 © 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