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1일을 기해 출범한 통합 전남대학교는 통합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교육 및 연구체제의 재구조화, 행정구조의 개편 및 두 캠퍼스의 자원활용도의 제고를 통하여 예산을 절감하고 효율성을 높이겠노라 청사진을 제시한 바 있었다.  

지난 3월 1일을 기해 출범한 통합 전남대학교는 통합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교육 및 연구체제의 재구조화, 행정구조의 개편 및 두 캠퍼스의 자원활용도의 제고를 통하여 예산을 절감하고 효율성을 높이겠노라 청사진을 제시한 바 있었다.

통합 추진단계로부터 지금까지 학사조직과 행정조직, 교육과정 운영, 예산 및 기성회계의 처리, 신입생 모집단위와 입학 정원 등의 형식적 사안에 있어서는 나름의 추진성과를 달성하였지만, 통합에 관련된 본질적 내용에 속한 교육 및 연구체제의 재구조화, 특히 구조조정과 특성화의 사안은 대학구성원의 합의를 이끌어내지 못한 채 표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풀어야 할 현안이 산적해 있는 가운데, 전남대학교의 학생 활동과 관련된 사안이 제기되었다. 그것은 바로 현재 하나의 대학교에 이원적으로 구성·운영되고 있는 총학생회에 관한 문제이다. 현재 두 캠퍼스의 총학생회는 모두 통합이 공식화되기 이전에 구성되었으며, 각기 상이한 활동계획과 운영 체계를 지니고 있다. 그렇기에 통합 전남대학교가 출범한 이후 두 캠퍼스에서 총학생회의 활동이 독자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것은 당연한 듯이 보인다. 하지만 문제는 두 캠퍼스에서 행해지고 있는 각종 학생활동이 총학생회간의 소통의 부재 및 학교당국의 무관심으로 말미암아 어느 한 캠퍼스의 소외감과 단절감을 증폭시킨다는 데에 있다.

  하나의 대학교의 이름 아래 존재하는 복수의 총학생회라는 문제는 결코 우리 대학교만이 겪는 현상은 아니다. 본교와 분교의 이원화된 시스템을 지닌 대학교는 물론, 최근 통합을 이루었던 대학교에서도 똑같이 나타나는 현상이다.

본교와 분교로 이원화된 대학교의 경우, 하나의 총학생회를 구성하였거나 혹은 하나의 총학생회를 구성하였다가 후에 캠퍼스별 총학생회를 구성하기도 하였다. 통합을 달성한 대학교의 경우, 대부분 우리 대학교와 마찬가지로 아직까지는 총학생회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은 물론, 논의의 장조차 마련하지 못한 채 어정쩡한 상태에 놓여 있다.

  논리상으로만 본다면야 ‘하나의 대학교, 하나의 총학생회’가 타당하지만, 이 논리를 지금 당장 강제할 수 없는 것은 전남대학교의 두 캠퍼스가 지금까지 각기 나름의 역사와 성과를 쌓아왔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마냥 현재의 따로따로인 총학생회를 바라보고만 있을 수 없는 것은 총학생회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학생활동이 전남대학교의 모든 구성원의 동질감 형성에 기여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이며, 모든 구성원이 공동체 의식을 공유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을 창조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이다.

우선 단기적으로 두 캠퍼스의 총학생회는 우리의 공동체가 지향하는 보편적 가치와 각 캠퍼스의 개별적 특성이 조화로운 통일을 이룰 수 있는 토대의 마련에 힘써야 한다.

그 첫걸음은 상호 존중과 신뢰의 바탕 위에서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는 것이며, 공동체 구성원의 동질감 형성을 위한 창의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지혜를 모으는 것이다.

저작권자 © 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