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추석 연휴 기차표를 구하지 못해 새벽부터 기차역에 나와 줄 서 있는 어르신들에 관한 기사를 읽었다. 읽은 지 몇 개월이나 지났지만 아직도 기억난다. 부끄럽게도 기사를 읽기 전까지는 디지털 소외계층에 대해 몰랐기 때문이다.

디지털 소외는 디지털 격차에 의해 불가피하게 초래되는 현상으로, 본인의 의사가 아닌 사회적 강제성에 의해 디지털 혜택을 받지 못하는 현상을 말한다. 디지털 소외계층에는 고령층, 저소득층 등이 포함된다. 이들 또한 사회를 구성하는 일원이기 때문에 디지털 소외는 사회 문제다.

2019년 11월 중국에서 처음 시작된 코로나19는 2020년 1월 대한민국 첫 코로나19 확진자가 생기면서 전국으로 확산되었고, 이는 우리의 일상에 제약을 가져왔다. 급속도로 퍼지는 코로나19를 예방하기 위해 사회는 점차 비대면 방식을 도입했다. 배달 앱을 통해 음식을 주문하고, 정부24 앱을 통해 서류를 뽑았다. 디지털을 이용한 사회의 비대면화는 별다른 교육이나 안내 사항 없이 빠르게 우리 사회를 채워나갔다.

코로나19에 대한 정부 규제가 완화되고 사회활동이 활성화되는 요즘도 비대면화는 계속되고 있다. 이 모습은 키오스크 사용 음식점에서 자주 볼 수 있다. 2023년 ‘롯데멤버스 라임’에서 실시한 ‘키오스크 조사’에서 60대 이상의 고령층 70.9%는 기기 조작이 어려워 사용이 불편하다고 응답했다. 사용법에 어려움을 겪어 음식을 주문하지 못하고 그냥 돌아가는 경우도 존재한다.

이렇듯 빠른 사회흐름에 적응하지 못하고 어려움을 겪는 디지털 소외계층이 늘고 있다. 그러나 정부는 올해 디지털 교육 예산을 작년 698억 4,000만원에서 279억 3,600만원으로 60% 삭감했다. 이 예산은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키오스크 사용법, 스마트폰을 이용한 기차 예매 등을 교육할 때 사용되며 주로 60대 이상이 듣는다. 예산이 줄어들면 교육 횟수가 줄거나 관련 수업이 중단될 수밖에 없다. 즉 정부의 예산 삭감은 디지털 소외계층의 교육을 거의 포기한 것처럼 보인다.

디지털 소외 문제는 꾸준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고령층과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키오스크 사용법과 같은 디지털 교육을 꾸준히 실시해야만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예산 삭감으로 인한 교육의 부재는 디지털 소외계층의 정보력 격차만 늘릴 것이다. 사회는 디지털 소외계층에게 더 친절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