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대 자치공간 문제에 이어 본부로 관리 이전된 사범대 자치공간 재배치 문제로 방학 중에도 학내가 시끄럽다. 사범대 학생들은 지난 24일 사범대 3호관 1층에서 ‘자치권 보장’을 외치며 자치공간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시위를 진행하기도 했다. 

인문대 자치공간 문제에 이어 본부로 관리 이전된 사범대 자치공간 재배치 문제로 방학 중에도 학내가 시끄럽다. 사범대 학생들은 지난 24일 사범대 3호관 1층에서 ‘자치권 보장’을 외치며 자치공간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시위를 진행하기도 했다.                   /엮은이

                                                                        

 

# 본부의 ‘대학 공간 효율적 관리 방안’ 연구?

본부는 지난 2003년부터 ‘대학 공간의 효율적인 관리방안 연구’를 추진해 왔다. 본부 관계자는 “건물을 계속 새로 짓는데도 공간요구가 증가하고 있다”며 “이는 학내 구성원들이 타 단대 교수의 공간허용을 반대하는 등 양보심이 결여되어 있다고 판단해 연구를 시작하게 됐다”고 밝혔다. 대학 공간의 공유화를 위해 본부가 내놓은 구체적인 방안은 ‘기준면적 초과 사용에 대해 사용료를 징수하라는 것이다.

본부는 교육부에서 내놓은 대학설치기준령 ‘98.2.24, 제15665호’와 ‘공간활용도 제고방안 연구(2004.12)’에 근거해 공간을 학생 1인당 교사 기준면적으로 구분했다. 따라서 단대 예산에서 초과 사용분을 본부가 공제하는 방식으로 지불하라는 것이다. 표를 보면 학생 1인당 교사 기준 면적이 단대별로 나와 있는데, 현재 학생수에 비해 공간이 부족한 단대인 공대는 본부로부터 돈을 받게 된다.

 

 

         계열

구분

인문사회 

자연과학

공학

예체능

의학

학생 1인당 교사 기준면적

12

17

20

19

20

 (단위: ㎡)


# 사범대 공간을 재배치한다?

사범대 자치공간의 문제는 학과 수에 비해 학생 수가 적어 기준 면적을 초과하므로, 본부 규정대로라면 초과 사용분을 내야 한다는데서 비롯한다. 사범대 행정실은 지난 4월 사범대 1호관 지하층(380.64㎡)과 1층 108호 강의실(69.9㎡)을 본부에 반납했다. 따라서 사범대가 초과 사용분 2백2십5만5천 원을 본부에 내지 않는 대신 본부에 관리 이전된 사범대 1호관 지하층과 1층을 비워줘야 한다.

사범대1호관 지하에는 ‘사림편집실, 예비역협의회, 테니스동아리 A-court, 풍물패, 영어교육과․가정교육과 학생회실’이 있었다. 그러나 이 공간이 본부에 반납되면서 사림편집실은 2호관 학생회실로, 영어교육과 학생회실은 국어교육과 학생회실로 가정교육과 학생회실과 유아교육과 자료실은 사범대 1호관 4층으로 옮겨야 한다. 나머지 풍물패, 테니스 동아리 A-court, 예비역 협의회는 대체공간조차도 언급되지 않은 채 비워줘야 하는 상황이다. 인문대 1호관 공사가 끝날 때까지 사범대 1호관 지하는 인문대 학생자치공간으로 사용하고 108호 강의실과 102호 강의실은 각각 교육시설과 시간강사 노조사무실로 사용하도록 했다.


 

# 학생들의 의사를 무시한 일방적 추진

학생들은 사정이 이러한데도 사범대 공간이 본부로 이전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의사가 무시됐다는데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국어교육과 회장 문경미 양(국교 3)은 “8월 초에 조교 선생님으로부터 정확한 내막도 모른 채 학생회실을 영교과 학생회와 함께 쓰라는 얘기를 들었다”며 “본부가 학생들의 자치권을 무시했다”라고 비판했다. 테니스 동아리는 “8월 초에 동아리 방이 있는 지하로 내려가는 계단이 책상과 의자로 막혀 있었는데, 본부로부터 직접적인 이야기를 들은 적이 없다”며 “지금은 다른 대안조차 세울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사범대 행정실은 “한 해 2억 원 정도 예산이 드는데, 추가사용분이 예산에서 깎이면 교육시설 확보나 환경개선이 어렵다”며 “이는 결국 학생들이 피해를 보게 되므로 본부로 관리 이전은 어쩔수 없다”고 밝혔다.

행정실은 또한 ‘교수실은 놔둔 채 학생공간만 줄인다’는 지적에 대해 “60%의 연구와 40%의 교육을 담당하는 교수의 기본적인 공간은 보장해 줘야 한다”며 “비교적 공간 활용도가 낮은 곳을 선정 했다”라고 말했다. 또한 “이미 2월경에 사림 편집실에 학장이 언급했고, 또 4월 26일 교수 간담회를 통해 결정된 사항들을 전하기로 되어있었는데, 전달이 늦어진 것 같다”고 일축했다.


 

앞으로 학생들 대응

사범대 학생회, 각 과학생회, 특별자치기구, 특별기구로 구성된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는 자치 공간 문제와 관련해 ‘경과를 밝히고 공개사과 할 것’과 ‘재배치 방안을 전면 백지화하고, 공간사용 결정에 대한 논의구조를 형성할 것’ ‘학생자치권을 전면 보장할 것’을 요구했다.

사범대 학장 오희균 교수(물교 통계물리학)는 “이미 본부로 관리 이전이 된 상태라 재량권 영역 밖”이라며 “풍물패, 테니스동아리 A-court, 예비역 협의회는 학생회 자체적으로 만든 비공식 기구이므로 처음부터 염두해 두지 않았다”고 했다. 오 교수는 또한 “공간의 공유화 개념으로 본부가 시행한 계획인 만큼 사범대가 내놓은 1호관 지하층을 사범대가 못 쓰는 것은 아니며 사범대 자치 공간으로 쓰게 해달라고 본부에 요청을 하면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비대위는 “2학기 ‘개강총회’를 통해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고 학생들의 힘을 모아 본격적으로 자치권 보장을 위한 운동을 벌여가겠다”고 전했다. 

 

/노은빈 기자 kokohak@hanmail.net

저작권자 © 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