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락초, 그림책 이용해 교육
전남여고 역사동아리, 음악회·전시 기획…타지역 교류행사도
“역사 교육, 현재 이해하는 데 기여해야”

5·18민주화운동(5·18)은 광주 곳곳의 유적지와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자연스레 사람들 사이로 스며든다. 5월만 되면 광주가 5·18의 흔적들로 가득해지는 이유다. 이렇게 각별한 그날의 이야기를 학교에서는 어떻게 전하고 있을까?

그림책 속 5·18

▲ 백성동 교사가 학습 도구로 사용하는 5·18 민주화운동과 관련한 그림책.

“하루의 교육으로 끝나지 않고, 그 속의 가치들이 개인의 삶에 녹아나도록 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백성동 교사(32)는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광주지부의 5·18 분과장을 맡고 있으며, 극락초등학교에서 4학년 아이들을 가르치고 있다. 그는 “5·18의 자체적인 교육도 물론 중요하지만, 내면의 배울 수 있는 가치에 더욱 집중하는 중이다”고 말했다. 역사적인 사실은 중·고등학교에서도 충분히 학습할 기회가 많을뿐더러, 초등학교 때 배운다고 하더라도 잊어버리기 쉽다. 이에 그는 현재를 살아가는 아이들이 5·18 속의 숨은 의미를 당연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인권, 민주, 평화 등을 항상 강조한다.

백 교사가 자주 활용하는 학습 도구는 그림책이다. 그는 “그림책을 이용하면 하고 싶은 말을 더 자연스럽게 할 수 있다”며 “아이들의 생각을 듣고 설명을 추가하면서 수업을 만들어간다”고 설명했다. 아이들은 ‘늑대의 선거’ ‘오늘은 5월 18일’ ‘백년아이‘와 같은 그림책으로 5·18을 어렵지 않게 접하는 것이다.

더불어 그는 ‘평화’와 관련해 교육 자료를 만들고 있다. kbc와 협업해 시나리오를 만들고 녹음을 진행하기도 했다. 또한 아이들에게 ‘평화가 무엇이냐’는 노래를 가르치고, 가사의 의미를 함께 곱씹어보는 시간을 가졌다. 이 노래로 오는 18일 금남로에서 공연이 이뤄질 예정이다. 그는 “이러한 교육 자료들이 민주주의의 가치를 가장 잘 이야기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백 교사는 “아이들이 인생에서 선택을 해야 하는 상황에 놓인다면, 수업에서 나눴던 얘기가, 읽었던 그림책 한 권이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연대와 공동체의 힘이 필요한 이 시대에, 교실에서 얻은 가치를 잃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과거와 현재를 잇는 연결점

▲ 김영주 교사가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제공=김영주 교사

“역사 교육이 ‘현재’를 이해하는 데 기여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광주여고에서 역사를 가르치는 김영주 교사(41)는, 매년 스스로에게 5·18에 대해 되묻는다. 이를 어떻게 생각하고, 교육의 관점에서 어떤 이야기를 나누고 싶은지 끊임없이 고민하고 있다.
그는 “‘디 벨레’ ‘1987’ ‘나는 부정한다’와 같은 영화를 학생들과 함께 시청했던 수업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며 “짧은 교과서 지문으로는 볼 수 없는 개개인의 이야기를, 영화에서는 입체적으로 볼 수 있다”고 언급했다. 5·18 자체를 다루기보다 일상 속에서의 구체적인 상황을 영화로 제시했을 때, 학생들은 각자의 의견을 훨씬 다양하게 표현한다. 그러고 나서 5·18에 대해 얘기하면, 확실히 민주주의와 당시 시민들을 남다르게 이해하는 모습을 보였다.

오월을 맞아 그가 담당하는 역사 동아리는 간단한 음악회와 전시를 기획한다. ‘오월 안부 엽서’와 같이, 다른 지역의 학생들과 함께하는 교류 행사도 준비하는 중이다. 이외에도 그는 “오월일기와 취재 수첩을 통해, 학생들과 정리된 내용이 아닌 당시 사람들의 시선을 같이 나누고 싶다”는 소망을 나타냈다.

김 교사는 “사건 자체를 파고드는 것보다, 현재까지 이어지는 연결점에 신경을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금의 학생들은 억울함을 당한 그때의 사람들이 아니므로, 기억을 전승해야 한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며 “경쟁적으로 ‘교육’이 중요하다고 말하기 전에, 학생들에게 각자의 삶이 있다는 걸 잊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메시지를 전했다.

한편 광주광역시교육청은 5·18 42주년을 맞아, 오늘부터 오는 27일까지를 기념 교육 주간으로 설정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전시와 공연, 현장 체험 등의 대면 5·18 교육활동도 확대 운영한다. 특히 ▲제주 ▲대구 ▲경북 ▲스웨덴 등의 국내외 교육자들이 광주에 방문해, 제주와 광주의 역사를 교류한다. 이외에도 생방송을 운영하고 교육자료 꾸러미를 배포하며, 뜻깊은 42주년을 만들어가고 있다. 

저작권자 © 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