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희가 낳고, 전두환이 키운 언론 탄압의 시대
<전대신문> 비롯한 대학언론도 예외 없이 통제

박정희가 군부 쿠데타를 이용해 정권을 잡은 1963년 이후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는 서서히 빛을 잃어갔다. 언론은 유신 정권이 도래하고 당시 대한민국의 억압적 현실에 짓눌려 침묵하고 말았다. 이에 언론인들이 분노하며 움직이기 시작했고, 이는 1974년 ‘자유언론실천선언’으로 이어졌다. 선언에서 기자들은 “자유언론은 어떠한 구실로도 억압될 수 없다”고 발언했다. 그러나 박정희 정권은 광고 통제를 통해 언론을 탄압하기 시작했다. 광고 통제는 이미 광고 수입이 지대 수입(신문 판매 수입)을 넘겨버린 신문사의 현실과 맞물려 효과적인 언론 탄압을 이끌었다.

박정희 사망 후 전두환이 정권을 잡은 1980년대에도 언론 탄압은 계속됐다. 1980년 11월 언론 통폐합 조치가 시행되고, 정부는 ‘보도지침’ 등의 방식을 이용해 언론사들을 통제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사정은 대학 내 언론사도 다를 바 없었다. <전대신문>은 1980년 9월 개강과 동시에 수습기자를 제외한 모든 기자가 강제 해직되면서 수습기자로만 신문사를 운영해야 하는 현실에 내몰렸다.

5·18 직전 발행된 <전대신문> 713호 신문 1면 기사 제목은 “광장에 메아리친 민주 함성”이다. 이 기사는 1만 명의 학생과 교수가 모여 쿠데타 세력을 비판했음을 전했다. 당시 행렬은 장장 2km에 달했으며, 그들은 시국 성토 후 도청에서 학교까지 행진했다. 이처럼 당시 학내 언론은 학생들의 민주화 운동을 ‘탈선’이 아닌 주체적인 민주 시위로 보도했다. 학내 언론과 학생 모두 민주주의를 해치려 하는 세력에 맞서 강하게 저항한 것이다. 그러나 민주화 의지를 향한 폭력적인 대응은 5·18 이후 시민들의 마음 속에 씻을 수 없는 상처로 남았다.

9월 개강 후 처음 발행한 <전대신문> 714호의 첫 기사는 오항기 총장의 취임사다. 이후 한동안 <전대신문>은 학내 소식만을 전하는 제한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5·18에 관한 내용을 <전대신문>이 보도하기 시작한 것은 전두환 정권 말기인 1987년부터였다. 

저작권자 © 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