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보 선택 기준 ‘정책과 미래 비전’ 56.5%
청년 문제 해결 이슈에 취업(53.8%) 응답 가장 높아, 
주거(28.2%), 차별 금지(9.3%)에도 응답
보여주기식 탈피한 제약 없는 소통 강조

▲ 삽화=김지민 일러스트레이터

“앞으로 한국을 이끌어갈 세대는 청년임을 잊지 않았으면 좋겠다. 대선 후보자들은 취업 관련 공약이 허울뿐인 공약이 되지 않도록 청년들의 호소에 집중해야 한다.” “청년들이 현실에 짓눌려 꿈을 잃지 않는 사회를 만들어줬으면 좋겠다.”

▲ 응답자 직업

<전대신문>이 지난달 24일부터 지난 2일까지 실시한 대선 여론조사를 통해 전해온 유권자들의 메시지다. <전대신문>은 ‘2030 청년 세대’ 400명을 대상으로 ‘청년 유권자가 바라보는 2022 대선’ 여론조사를 진행했다. 응답자는 20대 초반이 91.8%를 차지했고, 이중 대부분은 대학생(86.3%) 신분이었다. 응답자 중 남성은 41.3%, 여성이 58.5%였다.

▲ 대선 후보 지지도
▲ 청년 세대를 잘 이해하고 있는 후보자는?

<전대신문> 조사에 참여한 2030 세대 중 가장 높은 지지율(42%)을 얻은 후보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였다. 다음으로는 심상정 정의당 후보(16.5%),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12.3%),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6.3%) 순이었다. ‘청년 세대를 잘 이해하고 있는 후보자는 누구라고 생각하는가?’라는 문항에서는 약간의 점유 차이는 있었지만 지지하는 후보를 택하라는 문항과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응답자 중 38%가 청년 세대를 잘 이해하는 후보로 이재명 후보를 골랐다. 이밖에 심상정 후보(18%), 윤석열 후보(13%), 안철수 후보(6.8%) 순이었다.

지지 후보 문항에서 이재명 후보를 고른 응답자들은 지지하는 이유를 서술해 달라는 문항을 통해 ‘소속 정당’ ‘경기도지사 시절 보여준 추진력’이라는 의견을 제출했다. 윤석열 후보를 지지하는 이유에는 ‘현 정권에 대한 불만’과 ‘정권교체의 필요성’이라는 의견이 제출됐다.

주목할 점은 제1야당 소속 윤석열 후보보다 제2야당 심상정 후보에 대한 청년들의 평가가 호의적이었다는 것이다. 심 후보를 지지하는 이유를 적어달라는 문항에 ‘주 4일제 공약’ ‘남성 권력 편향 방지’ 등의 의견이 있었다. 임윤선 씨(정치외교·18)는 “군소 정당의 후보가 존재감을 드러낸다는 것은 청년들이 기존의 이념이 아닌 실리를 추구한다는 의미다”며 “후보자의 청년 공약과 그에 임하는 태도에 따라 2030 지지율은 확연히 바뀔 수 있다”고 말했다. 강인균 씨(사학·17)는 “‘정권교체’란 무작정 야당의 당선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며 “현 정권의 실수와 문제점을 바로잡고, 잘한 정책은 계승해 나간다면 그것도 정권교체일 수 있다”고 말했다.

취업 공약 선호도 높아

▲ 대선 후보 선택 기준

청년들이 후보자를 선택하는 기준은 ‘정책과 미래비전’ 문항이 56.5% 과반으로 가장 높았다. 도덕성과 품격(16.8%), 소통과 사회 통합(12.3%), 소속 정당(9%) 항목이 뒤를 이었다. 문화사회과학대 ㄱ 씨는 “코로나 팬데믹을 거치면서 ‘기본적 삶의 유지’에 대한 갈망이 커진 2030 세대가 기본적 요소인 ‘정책과 미래비전’을 바탕으로 후보를 선택하는 것 같다”며 “후보들이 청년들과 소통하려는 모습은 ‘보여주기식’이 대부분이다”고 지적했다. 또한 “청년들과 함께하는 소통의 장을 자주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전대신문> 조사에 따르면, 이재명 후보의 청년 공약 중 2030 세대가 1순위로 선호하는 공약은 ▲연 200만원 청년 기본소득 지급(28.5%) ▲기본 주택 100만호 중 일부 청년 우선 배정(15.3%) 순으로 높았다.

윤석열 후보의 청년 공약은 ▲공정한 취업환경 조성(17.5%) ▲주택 30만호 원가 공급(14.3%) 순으로 높았다. 심상정 후보는 ▲청년 일자리 보장제(29.5%) ▲주4일제 도입(24.5%) 순, 안철수 후보는 ▲토지임대부 청년 안심주택 50만호 공급(27.5%) ▲공적 연금 통합(14.8%) 순으로 높았다. <관련 기사 2면>

응답자 중 한 유권자는 “후보들의 청년공약이 전체적으로 뜬구름 잡기식이라 실망스럽다”며 “후보들이 청년, 여성을 비롯한 소수자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들었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 후보자가 관심을 두고 해결해야 할 청년 이슈

대선 후보자들이 청년 문제에 가장 관심을 두고 해결해야 하는 이슈를 묻는 문항에 ‘취업’을 답한 비율이 53.8%로 가장 높았다. 다음은 주거(28.2%), 차별 금지(9.3%) 순이었다.

<전대신문>은 지난달 29일 김대중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전국민 선거대책위원회에 참여해 이재명 후보를 만났다. ‘지역 청년을 위한 주요 공약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이 후보는 “청년 문제를 해결하는 근본적 길은 사회가 양극화를 극복해 공정한 자원을 배분하고 생산성을 올리는 것이다”며 “코로나19, 기후 위기, 디지털 전환의 상황에서 정부의 대대적 투자를 통해 청년들에게 기회의 장을 넓혀줘야 한다”고 답했다. 이 후보는 “지방분권, 국토 균형 발전에 많은 에너지를 쏟아야 ‘지방 소멸 위기’를 해결할 수 있다”며 “국가 역량을 신속하게 투입한다면 빠른 시간 내에 답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투표를 포기하는 것도 하나의 정치 참여 의사를 밝히는 유권자의 ‘권리’라고 주장한다. 임재훈 씨(통계·18)는 “기성 정치에 대한 실망을 느낀 청년들이 투표에 참여하지 않는 것은 일종의 의사 표현 방식일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기권표에 부정적인 입장도 공존한다. 김순수 씨(경영·14)는 “책임이 있을 때 권리가 주어지는 것인데, 투표를 포기하고 권리를 주장하는 것은 모순이다”며 “투표 기권은 권리라기보다 도피에 가깝다”고 말했다.

2030 세대는 날카로운 눈으로 후보자들을 바라보고 있다. 다수의 응답자는 “보여주기식 선거유세에서 벗어나, 청년들이 직면하고 있는 어려움을 실질적으로 해결할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