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또 휴강이네.”

지난 학기 사회대 ㄱ 씨가 들은 강의는 8번을 휴강했다. 교수의 세미나와 개인적인 이유 때문이었다. 그는 “비싼 수업료를 내서 듣는 강의인데 너무 휴강이 많다”며 “보강도 두 번 밖에 해주지 않아 수업료가 아까웠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예술대 ㄴ 씨도 “월·수·금 수업을 들었는데 월요일이 항상 휴강이었다”며 “예정된 커리큘럼을 마치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처럼 일부 강의의 잦은 휴강으로 인해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교학규정과 수업관리지침에 따르면 휴강을 할 경우 교수는 휴강계와 함께 보강계획서를 포털에 제출해야 한다. 원칙적으로 휴강일 수와 보강일 수가 같아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보강 이행 여부를 해당 단과대 학장이 확인하게 되어있지만 이에 대한 원칙이 잘 지켜지지 않고 있었다.

<전대신문>이 취재한 17개의 단과대와 본부직할학부 중 답변을 한 9곳은 모두 보강 이행을 서류상으로만 확인하고 있었으며 “수업 진행은 교수의 재량이므로 양심에 맡긴다”는 입장이었다.

학사과 관계자는 “강의 실시상황을 4주 단위로 받는데 보강을 이행하지 않은 경우는 보고받은 적이 없다”고 설명했다. 휴강일 수에 비해 보강일 수가 적었던 실제 취재내용과는 달랐다. 한 교수는 “휴강계를 내지 않고 휴강을 하는 경우도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현재 실제 보강 이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수강생이 감시자 역할을 하는 것뿐이다. 심덕섭 경영대 학장(경영)은 “보강을 따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다”고 말했다. 김용철 사회대 학장(정치외교)은 “보강을 하지 않는 수업을 학생들이 알려야 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학생들의 항의만으로는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는 의견도 있다. 학교 측에서 확실한 제재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간호대 ㄷ 씨는 “어디에 항의를 해야 하는지도 모르겠고 이것을 왜 학생이 문의해야 하는지도 의문이다”고 말했다. 공과대 ㄹ 씨는 “강의 평가에서 휴강을 자주 한다는 점을 지적했지만 변화가 없었다”며 “휴강 횟수 제한과 같은 실질적이고 확실한 제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