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대선의 핵심 쟁점은 ‘경제살리기’였다. 그로부터 5년 뒤 2012년 대선의 핵심 쟁점은 ‘경제민주화와 복지’였다. 경제 위기 앞에 ‘시장’과 ‘국가’를 구원투수로 올린 것이다. 경제성장을 통한 부의 획득을 ‘시장’을 통해 분배를 하면 자본가에게는 이윤을, 토지 소유자에게는 지대를, 노동자에게는 임금을 통해 부의 적절한 분배가 이루어 질 것으로 생각하였으나 소득격차의 확대일로는 시장이 부의 공정한 분배자 역할을 할 수 없음을 인식하게 하였다. 시장의 비공정성에 대해 국가가 계획적으로 분배정의를 이루자는 것이 복지이고 경제민주화이다. 하지만 국가 역시 효율성을 담보할 수 없으며 공정한 분배를 위한 완전한 정보의 구축에 대한 어려움, 관료화에 따른 부작용 등으로 시장을 대체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시장도 국가도 아니라면 그 대안은 무엇인가?

2008년 금융위기는 세계적 불황과 유럽의 재정위기를 불러왔으나 사회적 경제로서 ‘협동조합’이라는 사업모델을 안정적 성장과 소득분배 개선을 이룰 수 있는 대안으로서의 가능성을 주목받게 하였다. 이탈리아의 볼로냐는 유럽의 재정위기 속에서도 성장을 지속해 왔으며 유럽연합에서 소득이 가장 높은 5개 지역(1인당 GDP 4만 달러)이고 임금은 국가 평균의 2배이며 실업률은 국가 평균의 절반 수준인 3%대에 불과하다. 또한 협동조합은행들은 미국과 유럽의 상업은행들의 파산으로 이어진 금융위기에 흔들리지 않고 오히려 성장하였다. 영국의 ‘더 코퍼러티브 뱅크(The Co-operative Bank)’는 영업이익이 2007년 79억파운드(약 14조원)에서 2012년 133억 파운드(약 23조)로 금융위기를 거치며 오히려 증가하였고, 네덜란드의 라보방크(Rabobank)는 무배당원칙과 내부적립으로 42조원의 자기자본을 축적하고 있으며 2008년 금융위기의 중심에서 순이익이 20% 급증하였다. 그리고 협동조합의 유명한 스페인의 몬드라곤 협동조합은 스페인 기업 중 26%가 도산하고 고용률이 20% 하락하던 2008년 오히려 1만 4천938명의 신규 고용을 창출하며 연대를 통해 고용을 유지하고 안정적인 성장을 이루었다.

이와 같이 협동조합이 위기에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인 성장을 유지하며 소득분배 개선을 이룰 수 있는 이유는 협동조합의 이중적 성격에서 찾을 수 있다. 협동조합은 시장 안에서 작동하고 그 원리를 받아들이는 기업이면서도 경제 외적인 목적을 추구하고 사회 전체에 긍정적인 외부효과를 낳는 사회적 차원의 단체이기도 하다. 즉, 협동조합은 일반기업과 달리 단기적인 이윤추구보다는 장기적인 이익에 초점을 두므로 안정적인 경영이 가능하며, 조합원을 중심으로 운영되므로 일자리 창출과 고용안정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협동조합모델이 성공한다면 우리 사회의 양극화와 사회갈등 해소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재벌 및 주식회사 중심의 기업 생태계에서의 불합리한 제도에 많은 긍정적 변화가 나타날 것이다.

협동조합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신뢰나 사회적 규범과 같은 사회적 자본을 축적하고 그에 기반한 사회공동체의 이익을 추구하는 안정적이면서 사회통합적인 경제모델로 나아가야 한다. 그 과정에서 협동조합과 시민단체 및 지방·중앙 정부의 역할이 중요할 것이다. 또한 자마니(볼로냐 대학)교수의 말처럼 “협동조합의 문화와 가치를 사람들이 충분히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이는 대학과 지식인들의 역할일 것이다.

협동조합을 배우고, 협동조합으로 창업하고 취업해보자. 우리 대학에 있는 ‘전남대 생활협동조합’의 조합원으로 활동해보고, 협동조합에 관한 책과 보고서, 강의들을 접해보자. 청년들의 톡톡 튀는 아이디어와 열정이 더해져 지속가능한 경제성장과 분배 정의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을까 생각한다.

저작권자 © 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