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야흐로 대한민국은 선거정국이다. 특히 유럽 위기와 북한변수라는 글로벌 정세가 압박하는 환경에서 총선과 대선에서의 리더십의 변화는 국운을 가를 중대변수로 회자되고 있다. 이 와중에 우리 대학도 선거정국에 휩싸여있다. 아마 과거와 미래의 어떤 총장선거와 비교해도 임진년 선거는 역사적으로 정책적으로 중대한 함의를 노정하고 있다. 첫째, 현 정부의 국립대학에 대한 선진화정책은 법인화와 직선총장제 폐지를 지향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근래의 반값등록금 파동의 원인을 정부의 고등교육투자의 미흡임을 고백하기보다는 오히려 선심성 직선총장제의 폐단으로 돌리고 있다. 이는 적반하장이다. 올해 교과부가 각 국립대에 대한 예산과 입학정원 등의 지원에서 직선제 수용과 포기 여부에 따라 차별적인 지원을 취할 것임을 천명하는 상황이기에 우리 대학의 총장선거는 전국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둘째, 우리 대학은 1980년대 민주화시기에 직선총장제를 전국에서 제일 먼저 시행함으로서 학원자유화 운동의 메카라는 역사적 유산을 지닌 대학이다. 혹자는 21세기 초반기를 신자유주의시기라고 명명하고 있지만 한편으로 민주주의 질 고양과는 먼 시장과 경쟁논리가 교육과 문화영역을 침범하고 있다. 이제 전국의 거점국립대는 또 다시 우리 대학의 리더십을 촉구하고 있다. 직선총장제의 연속을 위하여!

 세 번째로 근래 우리 대학의 국내외적 위상은 갈수록 하락하고 있다는 점이다. 전적으로 주변 경제환경이나 지방성 등의 구조적인 변수 때문일까? 이에 상승/하락의 접점에 위치한 우리 대학은 어느 시기보다는 가장 완벽한 리더십을 요구하고 있다. 이는 대학의 장단기발전에 대한 비전과 실행가능한 플랜을 구비한 성실하고 품격 높은 리더십을 의미한다.

 올해 총장선거의 절차에서 가장 특징적인 부분은 그동안 대학자율화 차원에서 독립성을 인정받아온 총장선거과정이 이제 국가기관의 관리체제로 이양되어 집행된다는 점이다. 바로 중앙선관위가 상부기관으로서 선거의 전반을 통솔하고 있다. 따라서 2012년 전남대 총장선거는 슘페터리안(Schumpeterian) 선거로 귀결될 숙명을 안고 있다. 즉 공정한 절차에 의해 리더를 뽑아 놓으면 그 리더에 의해 실제적인 정책결과(substantive outcomes)가 자연스럽게 야기된다는 것이다. 이제 절차가 실제를 결정하는 절대변수이기에 금번 선거는 제발 차분한 논리로 경쟁하는 정책선거가 되어야 한다. 우선 총장에 뽑히고 보자는 전략에 의해 비현실적인 액수의 외부자금 모금이나 복지와 임금 인상, 기타 인센티브제공 등의 뻥치기 수법은 이제 구태의연한 수법일 것이다. 2012년에 용봉인들은 순수하고 공정한 절차를 지키는 총장을 선호한다. 또한 모든 구성원들이 공감하는 공약을 제시하면서 “우리 모두 손잡고 이루자”는 수평적인 리더십을 선호한다. 총장직은 군림하기보다는 남을 위해 봉사하는 보직이다. 제발 무사고 총장선거가 치러짐으로서 우리 대학이 “대학자율화와 민주화 그리고 미래화의 선봉장”으로 거듭나기를 기원한다. 

저작권자 © 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