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는 소외의 시대라고 한다. 다른 사람들과 함께 있어도 고독하고 자신만 아웃사이더가 된 듯한 느낌이 들기도 한다. 변화가 빠르고 모든 것이 불확실한 현대사회는 사람들로 하여금 필연적으로 불안정감을 느끼게 한다. 대인관계에서 느끼는 불안정감과 소외는 자기에 대한 불안정감과 소외의 또 다른 표현일 수 있다. 여러 심리학자들이 소외감과 고독, 대인 갈등 등을 설명하기 위한 이론을 제안하였다. 최근의 정신분석학의 주류라고 볼 수 있는 대상관계이론과 자기심리학에서는 유아기 때부터 양육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타인에 대한 신뢰와 자기에 대한 신뢰가 형성되고, 그것을 바탕으로 성인기의 인간관계도 결정된다고 본다. 불확실의 시대에 사는 사람들은 자기에 대한 확신을 갖기 어렵고 타인에 대한 신뢰감도 불안정하게 형성되기 쉬운데, 이런 특성은 부모와 자녀와의 관계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난다. 완벽하게 안정된 사람의 양육 하에 성장하기는 어려우므로 오늘을 사는 우리들은 불안정한 성격특성, 즉, 자기애적 성격 혹은 경계선적 성격을 갖게 되기 쉽다. 자기애적 성격은 자기 신뢰와 확신이 부족함으로 인해 항상 타인의 인정과 애정을 갈망하는 성격이다. 이런 성격을 가진 사람들은 인간관계에서 쉽게 실망하고 상처받으며, 타인의 인정을 받지 못할 경우 분노하거나 우울증에 빠지기 쉽다. 경계선적 성격은 자기와 타인에 대한 관점 자체가 매우 불안정하므로 인간관계 역시 사소한 일에 의해 순식간에 변화한다. 이는 첫눈에 반해 사랑(혹은 우정)에 빠지지만 쉽게 관심이 식거나 심지어 철천지 원수가 되는 인간관계로 나타난다.

정신분석학자이면서 사회학자이기도 한 에릭 프롬은 소비 지향적인 현대인의 삶을 소유적 삶으로 규정지었다. 한정된 물질을 더 많이 소유하는 것은 곧 성공을 뜻할 수도 있지만, 소유에 대한 가치관은 끝없는 탐욕과 불안감을 유발한다. 이런 삶의 양식은 인간관계나 자기를 평가하는 데도 똑같이 적용된다. 현대 사회에서 나와 타인에 대해 평가하는 기준은 대개 직업이나 재산, 외모 같은 외적인 것들이다. 이런 기준에 근거해 다른 사람과의 경쟁에서 이기는 것에 가치를 두는 삶은 늘 타인과 나를 비교함으로써 열등감을 유발하거나 타인에 대해 경계하게 만든다. 따라서 함께 있어도 서로를 수용하거나 공감할 수 없어 소외감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삶의 양식은 자신을 존중하며, 동시에 타인을 이해하고 공유하려는 존재적 삶의 양식과는 분명 다르다.
이처럼 현대인은 소외되기 쉬운 시대에 살고 있다. 그렇다면 자기애적 성격, 경계선적 성격에서 벗어나 존재적 삶을 살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 자기 이해와 성장을 위한 노력의 한 방법으로 최근 마음챙김 명상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는 타인 뿐 아니라 자신을 비판 없이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을 강조한다. 첫 단계는 호흡에 집중하는 것이다. 문제없이 잘 뛰고 있는 내 심장에 감탄해 본 적이 있는가? 심장병이 없는 한 평소에 자신의 심장이 어떻게 뛰고 있는지에 관심을 기울여본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다. 따라서 의식적으로 호흡에 집중하려 노력할 필요가 있다. 바쁜 현실에서 무관심하게 지나쳤던, 그렇지만 존재의 본질적인 부분에 집중해 봄으로써, 당연하게 여겼던 것들이 경이로운 것임을 깨달을 수 있다. 이처럼 지금, 여기에서 존재 가치를 느껴보는 경험은 존재적 삶의 출발점이 된다. 다음 단계는 나의 모든 경험(온갖 감각, 행동, 생각 등)에 대해 비판하지 않으면서 집중하고 수용하는 연습을 해 보라. 있는 그대로의 나를 받아들일 수 있다면 타인 역시 나의 욕구와 관련짓지 않고 있는 그대로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소유적 삶은 타인과의 비교를 통해 나를 평가하고, 나의 욕구와 관련해 인간관계를 맺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소외감을 가져온다. 반면, 존재적 삶은 자신과 타인을 있는 그대로 수용함으로써 이해와 존중을 가져온다. 극심한 취업난을 겪고 있는 현대의 젊은이들이 소유의 가치를 외면하기는 어렵겠지만, 때때로 존재적 삶을 지향하는 연습을 하는 것은 심리적인 풍요로움과 성장에 도움이 된다. 지금 소외와 고독감에 괴로워하고 있다면, 늘 쫓기는 일상에서 한 걸음 물러나 소유와 존재의 균형에 대해 생각해 보는 건 어떨까?

저작권자 © 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