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다시 소통이다. 정부를 향한 시민들의 불만이 아니다. 우리대학 구성원들이 우리대학에 대해 그렇게 말한다. 최근 벌어진 일련의 사안들에서 우리대학 소통의 현주소를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소통을 위한 우리대학의 노력이 없는 것은 아니다. 총장은 일반 교수, 직원과의 대화를 정례적으로 운영하고 있고, 평의회, 단과대학은 물론 학생회에서도 구성원들과 대화하려는 시도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럼에도 우리대학의 소통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우선은 현재 우리대학에 여론이 부재하다. 당국은 구성원들과 어떻게 논의해야 할지 모르고, 보통의 학생, 직원, 교수는 의사결정과정에 끼어들 틈이 없다. 교수회의, 평의원회, 학원장 모임이 있지만 이 속에 중요한 의제들이 들어 있지 않다. 엊그제 북구의회에서 결의안까지 내놓은 ‘헌혈의 집’ 사안, 학사개편이란 이름으로 시작된 유사학과(부) 통폐합 논의, 생명과학기술학부 공간 문제, 교양과정 개편 논의, 국립대 법인화 문제, 학장 직선제 폐지안 등에서 최근 전국적으로 번지고 있는 ‘반값 등록금’안에 이르기까지 우리대학의 공식적인 의사결정 과정에서 격론을 벌이고 고성이 오갔다는 말을 들을 수 없다. 결정이 된 후 ‘결론’만 알려지고 ‘누가 그랬느냐’ ‘도대체 왜 그랬느냐’며 시계를 거꾸로 돌리자는 반론만이 이어진다.

어쩌다 장이 서면 감정을 앞세운 날선 공방이 주를 이루는 새에 절필을 선언하는 이들이 적잖다. 서로 다른 논리 속에서 자신의 의견을 지지하는 숫자를 늘리기 위한 노력은 하지 않고 반대 의견에 적대적 표현을 서슴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니 너무 쉽게 토론 무용론을 거론한다. 이제는 교수들도 단식 농성을 해야 해결점이 찾아지고, 대화보다는 머리띠를 두르거나 침묵 농성이 더 위력적이라고 믿게 되었다.

이 모든 책임은 우리 모두의 것이지만 대학 당국의 치밀한 분석과 획기적인 대책을 촉구한다. 공식 논의 과정에 주요 의제가 숙의되도록 시스템을 조정해야 한다. 구성원 누구나 의사결정과정을 들여다보고 견해를 더할 수 있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토론하면 더 나은 방안을 얻을 수 있다는 낙관론이 확산되어야 한다. 1년 남짓 후 개교 60주년엔 우리대학의 미래 60년에 초석이 될 ‘소통 방안’이 선포되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