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호에서는 기자가 필리핀 현지에서 보고 느낀 현지 상황과 프로그램 체계에 대한 실효성을 짚어본다. 또 ‘2011년 프로그램 운영계획’에 대한 신경구 국제협력본부장의 인터뷰를 실었다. /엮은이

어학원 내 한국인 많고 대학 수업 수강 어려움 등은 해결과제

‘상당한 지원금, 짧은 연수 기간에 따른 적은 부담감, 해외 문화 체험, 자유로운 정규 외 활동, 그리고 당연한 영어 실력 향상까지.’

필리핀 희망해외연수에 대한 연수자들의 반응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이다.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조금씩 가지고 있는 ‘영어회화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타파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는 것. 게다가 본인이 원하면 추가 비용을 자비로 충당하고 ‘8주’인 수학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는 점 등 구조적으로도 자유롭다.

그 중에서도 최대 장점은 단연 ‘1대 1’수업이다. 인텐시브(intensive), 컴프리헨시브(comprehensive), 스파르타(sparta) 코스는 하루 8시간 수업 중 4시간 씩 1대 1 수업에 할애하고 있었다. 가장 쉬운 코스인 인헨스먼트(enhancement) 코스는 하루 6시간 중 2시간이 1대 1 수업으로 진행된다(어학원 학생들은 코스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 대부분 강사 1명이 수십 명의 학생을 상대로 수업하는 한국 학원에 비해 매우 효과적이라는 의견이다. 1년에 800~900명 정도의 한국 학생이 다녀가는 라살레 대학 부설 어학원(University of St. La Salle Language center, LSLC) 부원장 이규봉 씨는 “실수를 두려워하는 한국인에게는 강사와 학생 단 둘이 한 방에서 수업하는 1대 1 수업이 적격이다”고 말했다. 이 점 때문인지 학교를 통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어학원 수업을 신청해 오는 이도 있고 어학원 중에는 여러 마이스터 고등학교와 MOU를 체결한 곳도 있었다.

 

▲ 영어회화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없애는 데에는 1대 1 수업이 제격이다. 사진은 세부 의대 부설어학원 강의실에서 1대 1 수업이 이뤄지고 있는 모습.

 

전체적으로 보면 한국 학생들의 특성과 현지 수업방식 등을 고려했을 때 단기 어학코스로는 매우 추천할 만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8주’라는 기간, 대학 부설 어학원의 특성 상의 이유로 본래 취지인 어학 능력 신장을 대폭 꾀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명목상으로는 대학 부설 어학원이나 실질적으로는 ‘한국 사립 학원’과 크게 다를 바 없기 때문이다. 어학원 내에서 수학하고 있는 학생 대부분 또는 모두가 한국인이다. 물론 강사들은 거의 현지인이므로 수업 시간에는 영어를 사용한다. 문제는 수업 외의 시간들이다. 기자가 방문했던 한 대학 부설 어학원의 식당, 기숙사 등에서는 한국말밖에 들리지 않았다. 한국인밖에 없으니 당연한 현상일 수도 있겠지만 ‘외국 현지 대학에서 현지문화 체험·외국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이라는 희망해외연수프로그램의 취지에 비춰보면 가히 긍정적인 현상은 아니다.

 

▲ 수업 외 시간에는 대부분 한국인들과의 교류만 있다. 사진은 세부 의대 부설어학원 식당의 모습.

 

이러한 상황을 보완하기 위해 어학원도 자구책을 마련했다. ‘EOP(English Only Policy) Zone’이라는 제한구역을 정한 것이다. 이 구역에서 한국어를 사용하다가 EP(English Police)에게 적발될 시 경고장이 발부되고 그것이 누적될 시 에세이, 이력서, 자기소개서 작성 등이 과제로 부여된다. 세부 의대 부설 어학원(Cebu Doctor's University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CDU ESL) 실장 어재호 씨는 “학생들이 이곳에서 영어를 많이 사용하고 이를 통해 향상되길 바란다”며 “현재 한 층에 1~2명 있는 EP 수를 늘릴 예정이다”고 밝혔다. 하지만 학생들의 반응은 시큰둥하다. 해당 어학원에서 수학하고 있는 유대용 씨(경제·06)는 "층별로 EP가 있지만 엄격하지 않아 봐주고 넘어 가는 편이다"고 말했다.

또 특정 코스를 제외하고는 사실상 어학원 학생들이 대학 교양수업을 듣기란 불가능하다. 형식적으로는 가능하나 어학원 측 수업시간표와 대학 측 수업시간표가 안 맞아 들을 수 없는 처지이다. 게다가 대학 내 전공 또는 교양수업은 현지 학생들을 위한 수업이므로 보통 영어실력으로는 따라갈 수 없다는 게 학생들의 말이다.

학생들은 강사 수준이 천차만별인 것에 대해서도 불만이었다. 박정민 씨(산업공학·04)는 “강사별 강의 수준이 달라 학생들의 수업 변경 신청이 많다”며 “수준이 좀 더 상향평준화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한편 각각 CDU ESL, LSLC의 강사인 펭(Pheng)과 아나벨라(Ms.Anabella charlze) 모두 한국 학생들의 소극적인 태도를 지적했다. 펭은 “한국 학생들은 부끄러움이 많은 것 같다”며 “자신감 있게 ‘I have a question’하는 학생이 보기 좋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