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문학 단체에서 발행하는 소식지에 <내가 사랑하는 우리말>이라는 난이 있었다. 유명 문인들이 자신에게 특별한 감흥을 주는 우리말을 소개하는 난이었는데, 그것을 읽을 때마다 나라면 어떤 말을 소개할 수 있을까 생각하곤 했다.

요즈음, 아침마다 동네 야산을 오르면서 내게 새롭게 다가오는 단어가 생겼는데, 그것은 ‘젖다’라는 말이다. ‘젖다’는 흔히 ‘눈물에 젖다’, ‘슬픔에 젖다’, ‘향수에 젖다’ 등 애상적인 정서와 결합되어 쓰이는 말이었기 때문에 내겐 큰 관심이 없었던 단어였다. 그런데 산에 오르내리다 보니까 ‘젖다’라는 것이 생명을 순환시키는 데 얼마나 위대한 역할을 하는 것인지가 눈에 들어오는 것이다. 마른 흙은 낙엽을 썩힐 수도, 생명을 키울 수도 없다. 흙은 젖어야만 자연으로 돌아간 유기체를 생명을 잉태하는 자양으로 바꿀 수가 있는 것이다. 숲에 들어서면 젖은 흙 냄새가 그렇게 향긋하게 느껴졌던 것도 그것이 생명의 냄새였기 때문이었나 보다. 사람의 일도 이와 같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누군가의 마음의 상태에 함께 잠길 수 있어야만, 그 사람과의 진정한 소통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겠는가. 땀이든, 눈물이든, 통증이든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것은 논리나 설득이 아닌 공감과 교감이니 말이다.

산에 오르면서 또 생각되는 말은 ‘걸음나비’이다. 작년에 이 야산을 생태공원으로 개발하겠다는 광주시의 약속이 있어서인지 오르내리는 길에 나무 계단이 부쩍 늘어났다. 가파른 고비마다 계단이 있으니 안전하기도 하고, 토양의 유실도 막아주는 것 같아 고맙기는 했다.그런데, 이상하게도 가지런한 계단길을 걷는 것이 산길을 걷는 것보다 힘이 더 들고 시간도 더 걸리는 것이었다. 한참 후에야 그 이유를 깨달았는데, 계단길은 내 걸음나비를 무시한 채 정해진 높이와 간격을 따라 걸어야 하기 때문이었다. 그냥 산길은 자유롭게 내 걸음나비대로 걸으면 되는데……. 사람들마다 걸음나비가 달라 잘할 수 있는 일도 각각이고, 도달할 수 있는 길도 다양한데, 획일적인 틀에 따라 움직이려는 강박 때문에 삶이 더 강팍하고 더뎌지는 것은 아닐까. 자신의 걸음나비로 십 년쯤 한 길을 걸어보면 어떨까. 그러면 눈길에 먼저 나있는 발자국처럼, 자신의 흔적이 뒤따르는 사람의 지표가 되는, 그런 길을 만들어 낼 수 있지 않을까.

2월은 졸업 시즌이다. 특히 대학 졸업을 앞둔 이들에게는 기성 세대로서의 미안함이 앞선다. 고도 성장의 열매를 따먹으며 내 아파트를 장만하고 내 자동차를 살 줄만 알았지, 다음 세대에게 기회를 부여하는 제도와 장치를 마련하는 데는 턱없이 미숙했다. 늦었지만, 그래도 ‘보편적 복지’가 시대의 화두가 되는 세상이 되었으니 기성 세대로서의 노력을 다짐하며 졸업생들의 어깨를 두드려 본다. 내 이웃, 내가 속한 공동체와 공감의 폭을 넓혀가면서 자신의 걸음나비로 한 십 년쯤 자신의 길을 걸어가 보라고.

저작권자 © 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