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야흐로 대학선거의 계절이다.  학내 곳곳에 각종 선거 홍보물들이 넘쳐나고, 선거운동원들의 퍼포먼스가 유난히 유권자들의 눈길을 끈다. 지난 5년간 단독후보 출마로 굳어져 왔던 총학생회 회장 선거가 경선구도로 치러지는데다가 그간 출마후보조차 내지 못했던 총여학생회장 선거까지 성사되어 진행 중인 탓이다.  모처럼만에 대학 총학생회 선거가 활기차 보여 우선은 반가운 생각이 앞선다. 
그렇지만 경선구도의 선거가 마냥 반갑다고 할 일도 아니다.  흔히 선거가 그렇듯이 상대가 있고 또 그 상대가 만만치 않다면 과열되기 십상이다.  이번 선거과정에도 벌써 약간의 과열 조짐이 보인다는 보도가 있었다. 아직 우려할만한 수준은 아닌 것처럼 보이지만 대학 총학선거에서만큼은 기성정치의 구태가 있어서는 안될 것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선거에 무관심한 신세대 대학생들을 어떻게 참여시킬 것인가 하는 일일 것이다. 흔히 투표를 선거과정에서의 권리로만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권리란 내가 행사할 수도 또 하지 않을 수도 있다. 투표에 참여하지 않는 것이 권리의 포기이고, 권리의 포기에 아무런 윤리적 압박감이 없다면 투표 참여율은 낮아질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선거에서 투표란 유권자의 권리인 동시에 민주주의를 지탱하는 의무이기도 하다. 민주주의(民主主義)는 말 그대로 내가 주인으로서 내린 결정에 스스로 승복하는 자치를 그 핵심으로 한다.  당연히 주인인 나는 사려 깊은 결정을 내릴 것으로 가정하며 그 사려 깊은 결정행위가 바로 선거에서의 투표로 이어지는 것이다. 누군가가 투표에 기권하기로 결정했다면 그는 자신의 권리만 포기한 것이 아니다.  그는 스스로의 결정에 승복하는 자치의 근간을 유지해야 할 의무도 함께 저버린 셈이다. 투표행위란 유권자의 주인의식과 그에 걸맞은 사려 깊은 사고의 결과물이다. 주인의식과 의무감이 동시에 충족될 때 비로소 민주주의는 유지·발전되는 것이다. 
선거는 민주주의의 꽃이다. 대학의 총학선거는 학생들로 하여금 장차 민주시민으로 살아가기 위한 일종의 예비 훈련 같은 교육적 측면도 존재한다고 본다.  오랜만에 활기가 넘쳐나는 이번 총학생회장 선거가 과열과 혼탁 없이 높은 투표율로 이어지는 성숙한 민주주의의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