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격적인 가을이 시작되기도 전에 캠퍼스 나뭇잎이 단풍도 들기 전에 말라 비틀어 떨어지고 있다.

   “비로 인한 경기 취소가 프로야구 원년(1982년) 6건에서 지난해는 66건으로 늘었습니다. 모두 지구온난화 때문이죠”
  요즘 라디오에서 수시로 들리는 어느 제지회사의 광고다. 이처럼 지구온난화는 크게는 전 인류적인 문제로 작게는 우리 생활 사소한 곳곳, 캠퍼스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지구온난화는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온실기체가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꼽히는데 이산화탄소가 가장 대표적이며 메탄, 수증기, 프레온 가스도 한 몫 한다. 북극곰은 지구온난화로 인해 더 이상 얼음을 타고 놀 수 없으며 먹이도 부족해져 말라 죽어가 곧 멸종하게 될 거라는 전망이다.   또한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빙하는 녹아내려 해수면이 상승하고 있으며 덩달아 강수량도 늘고 있다. 이러한 지구 온난화로 이제는 전남 보성에서만 녹차를 재배 할 수 있는 게 아니다. 강원도 고성에서도 녹차시험재배를 하고 있는 중이며 사과 재배의 최적지 역시 강원도 양구가 될 것이라는 말도 나오고 있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환경 변화는 캠퍼스 안에서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지난 8월 9일에는 국지성호우로 인해 1시간에 100㎜에 달하는 비가 내려 우리 대학 근처, 정문 주변 교통이 마비되고 우리 대학 내에 있던 나무도 뿌리째 뽑히는 등 피해가 이만저만 아니었다. 또한 가을에야 볼 수 있는 코스모스도 여름에 피는가 하면 벚꽃의 개화시기도 빨라져 계절을 혼동하게 한다. 지구온난화의 피해는 학교 내 울창하게 우거진 나무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단풍이 들고 제 생명을 다하고 나서야 떨어져야할 나뭇잎들이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단풍도 채 들지 못하고 말라 비틀어 떨어지고 있다. 해바라기도 오랫동안 해를 바라보지 못하고 지고 만다. 지구온난화는 캠퍼스내의 가을도 잊게 한다. ‘가을가을’ 말하지만 긴팔에 긴바지를 입기엔 여전히 태양은 뜨겁다. 한가위가 지난 지 한참이지만 강의실의 에어컨은 여전히 바쁘게 움직인다. 광주전남녹색연합 임창곤 감사는 “전남대가 예전에 비해 녹지소실도 많이 되었고 건물들도 많이 들어서, 학교 내를 걸으면 체감온도가 많이 올라갔다는 걸 느낄 수 있다”며 “대학이 지구온난화 속도를 가중시키는 데 영향을 주는 부분도 있다”고 말했다.
  점점 더 우리 생활 깊숙이 파고드는 지구온난화. 미비하다 생각되지만 우리도 지구온난화를 늦추는 데 한 몫 할 수 있는 기회는 많다. 일반 전구를 형광으로 교체할 시 1년에 68㎏, 대중교통이나 자전거를 이용해 2㎞만 차를 안타도 600㎏, 냉난방온도를 2도만 낮추고 높여도 1년에 900㎏의 이산화탄소를 줄일 수 있다. 우리 생활 속 작은 습관이 북극곰의 보금자리를 더 오래 지켜 내 줄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