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대학은 근래에 옥에 티처럼 교수관련 몇 가지 사고로 인하여 세간의 따가운 주목을 받고 있다. 즉 교수들에 의한 폭력사태와 성희롱 등 낯부끄러운 에피소드가 드러나, 도대체 왜 이러한 불미스러운 일이 계속 발생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런 문제에 대한 해결기제 및 재발방지 시스템은 잘 작동되고 있는지에 대한 본원적인 질문을 던져야 될 시점에 처해 있다.

어느 대학교에서도 교수사회에서의 부정적인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우수대학으로 전진하기 위해서는 시시각각으로 발생하는 대학구성원들의 부도덕성에 대한 나름대로의 해결방식이 제대로 정착되어 있어야 된다. 이것은 오랜 세월동안에 걸쳐 이룩된 대학의 소프트 파워로서 대학운영의 질적 고양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자산일 것이다. 과연 도덕적 문제점에 대한 우리 대학의 해결기제의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교수사회의 부정적 실태는 그 대학을 서서히 멸망시키는 독약과 같은 것이다. 따라서 교수사회의 정화는 대학발전을 위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공공선일 것이다. 그런데도 우리 대학은 이처럼 중차대한 이슈를 단순히 봉합차원에서 접근하고 있지나 않은지, 그리고 일회적인 해결양식을 채택하고 있지나 않은지 지금이라도 면밀히 살펴보자.

즉 문제해결을 위한 합리적인 시스템 작동이 부재한 채, 근시안적이며 폐쇄적으로 의사 결정하는 구태의연한 방식이 잔존하는지 대학당국의 신중한 점검이 필요하다. 이러한 비제도화된 해결양식은 항상 미완의 숙제를 남기기 때문에 구성원간의 불신감과 위화감은 더욱 고착되어가고, 대학당국의 결정에 항상 의혹의 눈길을 던지게 마련이다.

우리 대학 용봉과 여수 캠퍼스는 무려 2만여의 사람들이 모여 이룩된 교육공동체이다. 따라서 간혹 눈살을 찌푸리게 만드는 불미스러운 사고가 터질 개연성이 대단히 높을 것이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부도덕성의 희생자들은 자신들을 보호하고 보상해주는 또한 가해자들을 처벌할 시스템이 과연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에 대한 확신이 별로 없는 것 같다. 주요 이유는 구성원사이에 활용할 수 있는 제도에 대한 접근성에 자신감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성희롱이나 폭력을 당했을 때 대학당국이 지닌 시스템의 외부 인지도는 매우 열악한 상태라서, 희생자는 어떻게 위 기구를 활용할지 헷갈려 한다. 따라서 어떤 특수한 사건의 해결기제는 단순한 제도로 존재할 것이 아니라 행위자의 규범이나 관행을 포함한 하나의 실행메커니즘으로 대학의 공간과 사람들 사이에서 항상 가깝게 작동되어야 한다. 지금부터라도 약자를 보호하는 적절한 제도보완과 지속적인 홍보 그리고 희생자를 배려하고 보호하는 정의로운 실천이 지속적으로 실행되어야만 우리 대학은 산다.

저작권자 © 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