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학교 학생은 학점 따서 취업하는 일반 대학생과는 다르단 말이다”
 

5·18 특집을 맞아 ‘5월 어머니의 집’을 운영하고 있는 안성례 동문을 만났다. 이야기가 절정을 향해가자 동문은 이 시대를 살고 있는 후배들을 크게 훈계했다. 옛 선배들의 5·18 정신을 계승하지 못하고 있다는 말이다.
5·18 정신이란 무엇인가? 5·18 정신을 계승한다는 것이 무엇일까? 5·18이 되면 우리 대학을 포함한 광주는 기념행사와 학술대회로 시끌벅적 하다. 그 날이 무슨 날인지, 의미가 무엇인지 물을 사이도 없이 5·18은 그 이름만으로 대단한 것이다. 그래서 가끔 5·18의 알맹이는 없이 껍질만 둥둥 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단지 일회성의 행사로만 그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와 함께.
 

5·18은 타 지역에서 광주를 방문하는 사람의 하루 일과처럼 되어서는 안된다. 5·18 묘역, 전남대 정문, 옛 도청을 방문하는 것만으로 그 날을 기념하기란 우리의 짐이 너무나 가벼워 보인다. 동문이 훈계한 것도 5·18 사진전에서 낄낄 웃는 철없는 대학생들이 아닐 것이다. 후배들이 너무나 가벼움 짐을 지고 이 시대를 살아가기 때문이다. ‘한미 FTA라는 국가의 중대한 사안에 광주의 대학생은 너무나 조용하다’ 선배들이 보기에는 할말도 많고 저항도 많을 시대인데 모두 침묵하고 있으니 답답할 노릇이다.
 

1980년 신군부 세력에 맞서 부당함을 외치고 민주화를 부르짖었던 그 날의 정신은 용감하게 불의에 맞서 옳음을 주장하라는 것이다. 이제는 신군부 세력도, 독재도, 총칼도 없다고 해서 5·18이 끝난 것이 아니라 이 시대의 부당함에 소리 지르고 정당함을 주장하는 것이다. 우리는 아침 일찍 일어나 도서관에서 취업 전선에 뛰어들 준비를 할 것이 아니라 이럴 수 밖에 없는 사회로 뛰어들어야 할지도 모른다. 나 또한 화려하게 지면을 장식한 5·18 기사들을 보며 광주를 방문한 관광객이 되진 않았나 하는 생각에 마음이 무거워 진다. 12면에 넘쳐 흐르도록 외쳐야 할 것이 많은 세상인데 말이다.

저작권자 © 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