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학기 수강신청 취소제도가 지난달 21일부터 나흘간 시행된 결과 당초 총 과목별수강 인원 9만9천1백39명 가운데 4천6백4명이 취소해 4.64%의 취소율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2학기의 1.83%, 올 1학기 3.65%에 이어 크게 늘어난 수치. 학년별로 수강신청취소 인원을 살펴봤을 때 지난해 2학기, 1학년 가운데 1과목만을 취소한 순수 취소인원은 3백30명이었던 것이 올해 2학기는 1천2백55명으로, 4학년은 2백70명에서 6백9명으로 크게 늘었다. 또 지난해 2학기 교양과목 취소인원은 4백7명에서 올해 2학기 1천5백79명으로, 전공은 1천2백53명에서 2천9백82명으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도입 1년을 맞은 수강신청 취소제도는 학생들의 부득이한 사정으로 학업성취도가 낮게 예상되는 교과목을 취소해 학습 효과를 높이고, 재수강에 대한 부담을 덜기 위한 취지에서 만든 제도이지만 해를 거듭할수록 문제점이 속출하고 있다.
김선욱 군(응화·1)은 "교수의 능력을 판단하는 기준이 수업의 깊이보다는 단순한 '재미'와 '학점'으로만 평가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며 "이 제도를 믿고 노력하지 않는 학생들도 문제"라고 언급했다.
정경운 강사(국문·현대소설) 역시 "이 제도는 자기행동에 대해 아무런 책임감 없이 교수로 하여금 자괴감에 빠지게 한다"며 "상대평가로 학점을 줘야하기 때문에 교수와 학생 모두에게 피해를 준다"고 말했다. 또 정봉현 교수(경제·지역개발학)는 용봉 아르미를 통해 △수강신청 초기 신청희망자 수강기회 제한 △기존 수강학생 학습분위기 저해 △소수인원 과목의 적정수강인원 확보 어려움 △교수의 자발적·자생적 강의준비 및 욕구 감소 유도 △상대평가시 수강학생 학점상 피해 등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에 정 교수는 "수강취소자의 장학금 받는 기회를 제한하고 기말과목의 상대평가시 수강취소인원도 평가정원에 포함시키자"고 대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이중표 교수(철학·불교철학)는 "대학은 자기가 스스로 자기를 관리하는 곳"이라며 "수업은 자신을 형성해 가는 과정이기 때문에 학점에 연연하기보다는 본질에 충실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전했다.

/전대신문 나현정 기자 dkdlel83@hanmail.net
저작권자 © 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