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감일을 맞추고 적은 인력으로 지면을 채우려다 보니 맡은 모든 기사에 열정을 쏟아 부을 수 없었다. 그럴 때마다 ‘기사를 위한 기사를 쓰는 것은 아닌가’ 하는 의문이 스스로에게 들었다. 이제껏 큰 포부나 목표의식 없이 눈앞의 ‘마감’만 바라보며 기계적으로 달려온 것이다.

하지만 사회적 담론과 열띤 토론이 가장 뜨겁게 이뤄져야하는 곳은 학내 언론매체여야 한다는 건 분명한 사실이다. 학보는 곳곳에 숨어있는 여론을 모으고 감춰진 사안을 밝혀내면서 대학사회의 중심이 돼야 한다. 전대신문이 그 역할을 수행해야한다.

신문을 안보는 시대라지만 아무도 안 보진 않는다. 항상 곁에 있는 존재이기에 신문이 일상적인 존재가 된 것 뿐이다. 신문을 도둑맞았을 때 독자들은 함께 분노했고 오보가 나면 따끔한 조언을 해준다. 학보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은 아직 남아 있다. 신문을 쓰는 건 학생기자지만 신문의 주인은 우리 대학 구성원 모두이기 때문이다.

오늘을 기록하는 기자이자 성실히 학내 부조리를 감시하는 파수꾼으로써 대학사회를 견지해야 하는 전대신문의 어깨는 무겁다. 후배 기자들이 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끌어야하는 편집국장의 어깨는 더더욱 무겁다.

취재원들에 시달리고 많은 기사 양에 치이는 기자들은 자신의 기사를 작성하는 것만으로 지쳐 있는 게 현실이다. 기자들을 보면 안타까운 마음에 최대한 편의를 봐주고 싶은 게 편집국장의 마음이다. 하지만 신임편집국장의 패기를 빌어, 기사를 위한 기사가 아닌 대학을 바로 잡는 기사다운 기사로 앞으로의 전대신문을 채우겠다는 포부를 내비치고 싶다. 기사를 만드는 기사쟁이가 아니라 우리 대학 구성원들이 필요로 하고 또 봐야만 하는 기사로 지면을 채울 수 있는 참된 언론인이 되겠다.
저작권자 © 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