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4월 16일. 이 날 인천에서 제주로 향하던 여객선 세월호는 구조되지 못한 승객 300여 명을 태운 채 진도 인근 해상에서 침몰했다. 유가족들을 비롯한 많은 국민들에게 세월호 참사라는 사건 자체만큼 큰 슬픔과 분노를 남긴 것은 바로 언론과 정부의 참사 대응 행동이었다. 언론은 “전원구조”라는 사상 최악의 오보를 냈으며 정부에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적극적으로 수색작업을 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좀처럼 수색작업은 빨리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 상황에서 실종자들을 구하기 위해 발 벗고 나선 사람들이 있었다. 바로 알파잠수공사 이종인 대표를 비롯한 민간잠수사들이다. 이들은 민간인 신분임에도 불구하고 사비로 장비를 준비하고, 자발적으로 생명 포기 각서까지 썼다.

이 대표는 수색작업에 ‘다이빙벨’을 도입하려 했다. 다이빙벨은 잠수사들의 장시간 수중작업을 도와주는 구조물으로, 윗부분에 에어포켓이 형성돼서 잠수사가 앉아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이다. 이 장비는 잠수사들이 연속 20시간까지 작업할 수 있게 도와줘서 수색작업에 도입되어 성공한다면 작업 효과가 훨씬 높아질 가능성이 있었다.

하지만 해경과 언론은 이 대표의 수색작업에 매우 비협조적이었다. 해경은 잘못된 수색장소를 알려주기도 하고 심지어 수색작업 도중에 작업현장 근처에 갑자기 고속으로 배를 운행하여 위협을 주기도 했다. 언론은 다이빙벨을 첫 도입했을 때 잠수사들이 모두 다이빙 벨에 대해 만족했음에도 불구하고 희생자를 찾아내지 못했다는 이유로 다이빙벨의 도입을 완전한 실패로 간주한다는 식으로 보도했다.

이 대표는 결국 다이빙벨을 포기하고 철수했다. 세월호 골든타임은 지난 지 오래였고, 수색작업은 장기화됐다. 이것이 진정 정부와 언론이 바라던 수색작업인가?

국가는 재해나 위험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다. 또한 언론은 억압받지 않고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국민들에게 전달해야 한다. 하지만 이번 세월호 참사를 통해 본 정부와 언론의 행적에서 국민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사실 찾을 수가 없었다.

스스로가 얼마나 결백하며 남의 잘잘못을 따지기 전에 공직자든 언론인이든 국가의 위기 상황일수록 자리에 연연하지 않고 양심적으로 진실을 밝히려고 최선을 다해야 한다. 명예로운 그 자리가 존재할 수 있는 근본적인 이유는 본인이 아닌 바로 이 나라의 국민이기 때문이다.

‘진실은 침몰하지 않는다. 다만 모든 이들의 양심의 부력이 있을 때에만 가능하다.’ 다이빙벨의 도입을 시도하는 전 과정에 함께 했던 이상호 기자가 영화 맨 마지막에 한 말이다. 이로부터 약 3년 뒤인 현재 세월호는 마침내 인양됐다. 미수습자 수습과 명확한 진상규명을 통해 그들이 숨기려했던 진실도 반드시 인양되길 바랄뿐이다.
저작권자 © 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