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이지직....독자님. 저 아마도 이게 마지막 통학이 될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게 끝이 아닙니다. 1교시는 다시 시작될 거에요. 그때는 독자님들이 전대신문을 설득시켜야합니다. '대학생 통학대란'을 취재하는 전대신문을요. 1교시 지각 바뀔 수 있습니다. 절대 포기하지 말아요. 탕!
 
 ■ 여수캠퍼스에서 광주캠퍼스로 통학하는 이윤 씨(특수교육·14) 
“추운 버스 안이 제일 고충이죠.”

 

 
저는 수업을 듣기 위해 여수캠퍼스(여캠)에서 광주캠퍼스(광캠)까지 학교 통학버스를 타고 다녀요. 그런데 이 통학버스는 타려는 학생들이 많은 인기버스랍니다. 저 같은 특수교육학부 학생들은 꼭 수업을 들어야 하는 상황이라 항상 1시간 씩 미리 가서 기다려야 하는 고충이 있어요. 
특수교육학부는 여캠에 과가 있지만 사범대 소속이라는 특성상, 여수에서 2시간이 걸리는 광캠으로 수업을 들으러 가야 하는 경우가 많아요. 특히 1교시가 광캠에 있는 날이면 깜깜한 새벽부터 버스를 기다려야 하니 너무 힘들죠. 버스 안이라도 따뜻하면 좋을 텐데 겨울이면 버스 안이 춥기까지 하니 덜덜 떨면서 학교를 오네요.
하루는 학교 통학버스에 좌석이 다 차서 특수교육학부 학생들이 수업을 듣기 위해 터미널에서 10,300원을 지불하고 시외버스를 탔던 경험도 있었습니다. 임용에 대한 고민도 많은데 통학까지 스트레스를 받아야 하나요?

■ 효천지구에서 통학하는 이도윤 씨(음악·15)
“저는 중간에 환승까지 해야 합니다.”

 

 
저는 광주 효천지구에서 진월79번을 타고 중간에 07번으로 환승 후 무사히 우리 대학에 도착합니다. 광주에서 광주로 통학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무려 1시간 30분이나 걸려요. 광주에 살지만 이만하면 장거리 통학생이라 할 만하죠?
통학할 때 저의 심신을 달래줄 특별한 아이템은 없지만 음악을 듣기위해 이어폰을 챙깁니다. 또 멀미가 심하지 않은 편이라 주로 책을 읽으면서 오는 편이에요. 참! 버스에 자리가 없을 경우 독서는 불가능한 일이죠. 특히 갈아타야하는 순간에 막 버스가 떠나거나 짐이 무거운데 버스에 사람이 많아 서서 가야할 경우 정말 난감하답니다. 통학생분들 공감되시나요?
왜 힘들게 통학을 하냐고 묻는 다면 가족을 위해서라고 답하고 싶어요. 저희 집은 부모님께서 주말부부시고 친오빠는 타지에서 학교를 다니고 있습니다. 그래서 엄마 혼자 집에 계시는 것이 걱정되어 저는 자취를 하거나 기숙사에 들어가지 않고 있습니다.
 
 ■ 나주에서 통학하는 문병현 씨(국어국문·13)
“자취 부담되니 통학하며 다닐 수밖에요.”

 

 
우리 대학 후문을 거쳐 가는 보라색의 160번이 저의 통학버스입니다. 저는 나주에서도 160번 종점 근처에서 살기 때문에 적어도 통학 2시간은 잡아요. 1교시가 있는 경우, 적어도 6시에 일어나 7시에는 버스를 타야 수업에 늦지 않습니다. 정말 상상만 해도 힘들죠?
워낙 아침 일찍 일어나야 하기 때문에 아침밥을 못 먹어요. 그래서 저는 통학 길에 간단한 초코바를 챙기죠. 또 저만의 통학 필수 아이템이 있다면 멀미약을 말하고 싶어요. 거의 2시간 씩 버스를 타야하기 때문에 멀미약이 큰 도움이 됩니다.
장거리 통학생의 비애를 꼽는다면 통학시간이 너무 아깝게 느껴진다는 것입니다. 왕복 4시간, 그 시간에 공부나 아르바이트를 한다고 생각하면 저한테 훨씬 좋을 텐데 말이죠. 또 마지막 수업이 6시에 끝난 뒤, 친구들과 함께 있다 보면 8시에 버스를 타게 되는데요. 집에 가면 10시정도 되니 엄마께서는 “빨리 다니렴”하고 핀잔을 주시기도 해요.
자취는 경제적으로 부담도 되고 또 집에서 나와 살면 가족들 얼굴을 많이 볼 수 없는 것이 서운하기도 해요. 그래서 저는 왕복 4시간정도를 감수하고 통학을 합니다.  
 
저작권자 © 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