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의 발달은 이제 미래까지 예측할 수 있게 만들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빅 데이터다. 안전행정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폭염과 관련한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해 2020년 발생 가능한 폭염 예측 시나리오를 발표했다. 시나리오에 따르면 오는 2020년, 우리나라는 30일 넘게 폭염이 지속된다고 한다.

한편 교통안전공단은 올해 국내에 출시되는 자동차 결함 정보를 분석하는 ‘자동차제작결함전산망 빅 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구축, 자동차 결함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을 추진할 계획이다. 원인을 알 수 없는 결함 등이 급증함에 따른 대책 마련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이처럼 빅 데이터의 활용은 새로운 가치창출로 인식되고 있다. 빅 데이터는 각종 센서와 인터넷의 발달로 데이터 기록의 양이 증가하면서 나타난 방대한 데이터를 말한다. ‘전세계 빅 데이터 기술 및 서비스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빅 데이터 시장은 2010년 32억 달러에서 2015년 169억 달러 규모로 시장 확대를 예측했다. 이는 연평균 40%의 성장률이다. 빅 데이터 기술 및 서비스의 수요가 얼마큼인지 우리는 이러한 수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기업은 빅 데이터를 활용해 소비자의 니즈를 파악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정부 또한 빅 데이터를 통해 국민들의 생활패턴에 맞는 공공서비스를 만들어 내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는 각종 빅 데이터를 활용한 정책 마련에, 기업은 빅 데이터를 활용한 마케팅 전략에 힘을 쏟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빅 데이터 활용의 이면에는 사생활 침해라는 반전이 기다리고 있다. 최근 잇따라 발생한 개인정보 유출 사고 등의 정보 보안 위협에서 빅 데이터도 피해갈 수 없다는 것이다. 오히려 해킹, 테러, 정보 유출 등의 피해는 빅 데이터의 피해라고 지적받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빅 데이터를 활용하기 전에, 개인의 사생활이 침해되거나 해킹 등으로 낳을 수 있는 피해를 막기 위한 법적, 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방대한 데이터 수집이 가져오는 문제를 염려하자는 것이다.

빅 데이터의 활용으로 국민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소비자의 욕구를 더 빠르고 정확하게 만족시킬 수 있다면 빅 데이터는 혁명이라고도 볼 수 있다. 정형화되어 있지 않은 방대한 정보를 필요에 따라, 의미에 따라 분석하고 이를 실생활에 접목시키는 것은 IT 시장의 새로운 활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를 효과적으로, 그리고 바르게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사생활 보호라는 가치가 더욱 절실해 보인다. 빅 데이터의 혁명이 단순히 특정 집단을 위한 혁명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그렇다.

정부와 기업은 빅 데이터 활용 이전에 이것으로 발생되는 갖가지 사생활 침해 우려 부분을 불식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 빅 데이터가 가져다주는 황홀한 결과에 도취되어 해야 할 일들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사생활 침해라는 문제가 선결되지 않는다면 빅 데이터 혁명은 ‘진짜 혁명’으로 인정받을 수 없을 것이다. 혁명을 혁명다워질 수 있게 하는 제도적 장치가 꼭 필요하다. 인간이 미래를 예측하는 것이 마냥 달갑거나 기분 좋은 일은 아니지만, 인간문명의 발달은 피해갈 수 없는 길이고, 다만 이를 좀 더 신중히 밟아 가는 것이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일일 것이다.

저작권자 © 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