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삽화=남현진(조선대)
뱀이 떠나가고 말이 왔다. 올해는 말의 해다. 이처럼 매 해 쥐·소·호랑이·토끼·용·뱀·말·양·원숭이·닭·개·돼지까지 열두 동물이 돌아가며 당 해를 상징하는데, 이러한 풍습은 어디에서 비롯되었을까?

올해는 청마(靑馬)의 해라고도 하는데, 흑룡이나 백마·백호·흑호·황금돼지띠 등처럼 특수한 경우다. 한 해의 이름은 열두 동물을 상징하는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의 12지와, 색을 나타내는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의 10간을 하나씩 대응하면서 정해진다. 10간 중 갑을은 푸른색, 병정은 붉은색, 무기는 노랑색, 경신은 흰색, 임계는 검은색을 의미한다. 올해는 갑오년, 즉 푸른색을 의미하는 갑과 말띠의 오가 만나 청마의 해가 된 것이다.

띠의 기원에 대한 학설에는 도교장자설, 불교여래설, 유교황제설, 인조유전설 등이 있다. 그 중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불교여래설이다. 석가가 세상을 하직할 때 모든 동물들을 다 불렀으나 열두 동물만이 모였는데, 석가는 동물들이 도착한 순서에 따라 그들의 이름을 각 해마다 붙여주었다는 것이다. 즉 쥐가 가장 먼저 오고 돼지가 꼴찌로 온 셈이다.

도교장자설에 의하면 어느 날 석가가 천국으로 통하는 열두 개 문의 수문장을 지상의 동물들을 선정해 맡기기로 하고, 모든 동물들의 무술 스승인 고양이를 포함한 열두 동물을 불러 모았다. 석가가 자리를 비운 사이 고양이 역시 변이 급해 잠시 자리를 떴는데, 쥐가 나타나 그 자리를 가로챘다. 이때부터 고양이는 쥐에 원한을 품고 쥐를 잡으러 다닌다고 한다.

민속학자 김선풍 교수에 의하면 우리가 흔히 ‘띠’라고 부르는 것은 한국인 각자의 심성에 투영된 동물의 이미지다. 인간의 본성 속에는 본래 동물적인 근성이 있으며, 열두 동물은 자아의 내면세계를 대변한다는 것이다. 또한 예로부터 사람은 자기가 무슨 띠로 태어나느냐에 따라 그 운명이 크게 달라진다고 믿었으며, ‘띠는 각 사람의 심장에 숨어있는 동물’이라고도 하였다. 예를 들면 12지신 중 가장 처음인 쥐띠 해에 태어난 사람은 부지런하다거나 부자로 산다는 등의 덕담이 있다. 호랑이는 의로움이나 용맹스러움의 이미지를 바탕으로 호랑이띠 역시 어려움을 잘 극복하고 관대하고 초지일관하다고 한다. 토끼는 열두 띠 중 가장 생기 있는 동물로 여겨지며 토끼띠는 행운의 띠의 하나로 이 해에 태어난 사람은 평온하고 유유자적한 생활을 영위한다고 한다. 올해의 띠인 말띠는 활력이 넘치는 말의 이미지에 맞게 발랄하고 기지가 있으며 인기가 많지만 변하기 쉬운 기질 때문에 성급하고 고집스럽다고도 알려져 있다.
 

저작권자 © 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